컨텐츠 바로가기

反트럼프 확산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캐나다 총리 “美와 관계 끝”

하버드대 교수 600여 명은

“민주주의 위협” 연판장 서명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27일 몬트리올에서 지지자들과 만나 연설하는 모습. 카니는 전일 모든 수입차에 관세 25%를 부과한 미국에 대해 "기존의 관계는 끝났다. 우리는 과거로 돌아갈 수 없을 것"이라고 했다./AF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의 이웃 나라이자 오랜 우방이었던 캐나다의 마크 카니 총리가 27일 “미국과의 기존 관계는 이제 끝났다(over). 미국은 더 이상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가 아니며, 과거로 되돌아갈 수는 없을 것”이라고 했다. 전날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수입 자동차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자 나온 반응이다. 캐나다는 수출 중 미국 비율이 75%에 달할 정도로 미국 의존도가 크다.

카니는 이날 트럼프 정부의 관세에 대응하기 위한 내각 특별위원회 회의를 마치고 기자회견을 열어 “우리는 미국에 최대한의 영향력을 행사하고 캐나다엔 최소한의 영향을 주는 보복 조치로 미국의 관세에 맞서 싸울 것”이라며 “캐나다의 노동자와 나라를 지키기 위해 어떤 선택지도 배제하지 않겠다”고 했다.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보복 관세 방침을 천명한 것이다.

트럼프는 다음 달 3일부터 모든 수입차에 관세 25%를 부과하겠다고 지난 26일 밝혔고, 이와 별개로 교역 상대국의 무역 장벽 수준에 맞춰 관세를 인상하는 상호 관세 부과를 2일로 예고한 상태다.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로 맺어진 군사 동맹국이자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한 경제 협력국이기도 한 미국·캐나다는 트럼프가 지난 1월 ‘2기’에 취임한 후 캐나다를 집중적으로 공격하면서 관계가 급속도로 냉각됐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지난달 관광 목적 등으로 미국을 방문한 캐나다 차량은 지난해 대비 24% 감소했고 캐나다에선 미국산 제품 불매 운동도 확대되고 있다.

우방에까지 관세 인상을 강행하고 법원의 제지에도 미국 내 이주자를 대거 강제 추방하는 등 권위주의적 행보를 보이는 트럼프에 대한 미국 내 반발도 커지는 분위기다. 27일 하버드대 학생신문인 ‘하버드 크림슨’에 따르면, 이 대학 교수 600여 명이 대학 내 학문의 자유를 제한하며 보조금을 삭감하는 트럼프의 행보를 비판하는 서한에 서명해 이사회에 제출했다. 교수들은 “미 대학에 대한 (트럼프의) 지속적인 공격은 표현·결사·탐구의 자유를 포함한 민주주의 사회의 기본 원칙을 위협하고 있다”고 했다.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뉴스레터 구독하기

[워싱턴=박국희 특파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