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정권이 다음달 3일부터 수입 자동차에 대한 25%의 관세 부과를 예고한 가운데 일본 정부가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사진은 수출을 위해 운반선에 실리고 있는 일본 자동차. AFP=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일본 아사히신문은 28일 복수의 정부 관계자 발언을 빌어 일본 정부가 경제산업성과 국토교통성, 농림수산성 등 관계 부처를 통해 자동차와 가전 등의 공업 규격, 농산품 검역 등에 대한 규제 완화 검토에 들어갔다고 보도했다. 앞서 발표된 도널드 트럼프 정권의 수입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 부과 발표에 따른 ‘협상 재료’로 비관세 장벽 완화를 꺼내든 것이다.
수차례 일본에 대한 관세 부과 제외를 미국 정부에 요청했지만 통하지 않게 되자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일본 총리가 직접 지휘에 나섰다. 이시바 총리는 지난 26일 경제산업성과 국토교통성, 농림수산성의 간부들을 총리관저로 불러 ‘대응책’ 협의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가장 가능성이 높은 안으로 부상한 것이 바로 비관세 장벽 완화. 아사히는 이날 회의에서 자동차나 일본에서 민감한 농산물을 제외한 미국산 제품에 대한 규제 완화가 유력안으로 부상했다고 전했다. 청소기나 드라이어와 같은 가전제품에 대한 안전 기준을 완화해 미국과 협상 재료로 삼겠다는 것이다.
일본 정부가 규제 완화와 같은 비관세 장벽을 협상 카드로 검토하고 나선 것은 트럼프 1기 정권 때의 경험 때문이다. 당시에도 트럼프 대통령이 일본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 부과를 언급했는데,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은 이를 미국산 소고기와 돼지고기 등에 대한 관세 인하로 ‘방어’한 바 있다. 이번 트럼프 2기 정부 역시 대일무역 적자를 문제로 삼고 있는 만큼 일본 정부는 미국산 제품에 대한 규제 완화가 관세 제외 협상에서 유효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지난 17일 일본 참의원 예산위원회에 참석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AFP=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다음 달 3일부터 시작되는 자동차에 대한 관세 부과는 오는 7월 참의원(상원) 선거를 앞두고 있는 이시바 정권을 압박할 전망이다. 다이이치생명경제연구소는 이번 관세 영향으로 일본의 실질 GDP(국내총생산)가 최대 0.52% 하락하고, 관세가 일본산 자동차에 대한 가격으로 전이될 경우 미국 내 신차 판매량이 11.9% 감소할 것으로 추산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추가 관세부과로 인해 일본산 차량의 미국 수출길이 완전히 막힐 경우 최대 13조엔(약 126조원)에 달하는 경제 가치가 사라질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