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01 (화)

산불 지역 27만명에 30만원…경북도, 피해주민 지원책 발표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역대 가장 큰 규모의 산불이 발생한 경북 북부지역의 주민들이 1인당 30만원의 긴급재난지원금을 받는다. 실업급여 기간 연장, 중소기업 판로 지원 등 근로자와 기업들도 산불 피해 극복을 위한 지원을 받게 됐다.

경북도는 28일 이번 산불과 관련해 이재민 지원, 중소기업·소상공인 재기 지원, 긴급재난지원금 지원 등 대책을 발표했다. 산불 피해 상황을 ‘준전시 상황’으로 보고 이재민들에게 생필품을 부족함 없이 지원하는 것은 물론 긴급 임시주거시설 지원도 하기로 했다.

28일 오전 경북 의성군청 임시청사에 마련된 산불 현장지휘소에서 이철우 경북도지사(오른쪽)가 산불대응 5대 추진방향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 경북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재민 지원 우선…심리상담도



도는 이재민 구호물자 지원이 가장 급하다고 판단했다. 이번 산불에 따른 산불영향구역은 28일 오전 7시 기준 4만5170㏊, 주택 피해는 2219동에 이른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산불 이재민도 안동·의성·청송·영양·영덕 전역에서 속출했다. 지금까지 파악된 대피 인원만 3만3865명이다. 이들에게 식사와 의복, 세면도구, 담요 등을 즉시 제공하고 이재민 건강을 위한 이동 진료, 심리상담센터 운영도 한다는 것이 경북도의 계획이다.

28일 경북 의성군 의성읍 인근 한 공장이 산불로 인해 폐허가 되어있다. 김종호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체육시설이나 학교 등 대피소 생활을 하고 있는 이재민들이 하루 빨리 편안한 곳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우선 정부·기업 연수시설이나 호텔·리조트, 마을 인근에 설치한 에어돔 등에서 임시 거주를 한 뒤 단계적으로 임시거주용 조립주택, 산불 이재민을 위한 영구주택단지 등으로 거처를 옮기게 할 예정이다.

이번 산불로 경제적 기반을 상실한 중소기업·소상공인을 위한 대책도 마련했다. 산불 피해 지역을 고용노동부 고용위기지역과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 특별지원지역으로 지정하는 한편 영업손실 보전을 통한 경영안정 지원, 건강보험·국민연금 등 사업자 부담분 지원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대상으로 융자규모 확대와 저리 금융지원도 시행한다.

또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을 통한 생계안정을 도모할 방침이다. 의성·안동·청송·영양·영덕 등 산불 피해 지역 도민 27만여 명을 대상으로 1인당 30만원의 긴급재난지원금을 지원하고 중앙정부 차원에서도 대책마련을 요청할 계획이다.

28일 경북 의성군 산림이 산불로 폐허가 되어있다. 김종호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산불대응시스템 대전환’ 추진



장기적으로는 대규모 재난에도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산불대응시스템 대전환’을 추진한다. 산불진화용 드론, 무인진화 로봇 등 야간 산불대응 시스템을 도입하고 풍속에 따른 대피 행동요령을 반영한 산불대피 표준 매뉴얼 개정으로 위험관리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또 정부와 함께 대형산불 대응을 위한 군 수송기 활용 검토와 산악지형에 특화된 산불진화 전용 소방차 개발 등 진화장비의 대형화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아직 화마(火魔)가 완전히 떠나지 않아 완전 진화에 최선을 다해야겠지만, 체육관과 학교 등 대피소에서 쪽잠을 주무시는 도민을 보면 가슴이 미어지는 상황”이라면서 “신속한 복구대책 마련과 구호를 통해 이재민의 일상회복에 전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안동·의성=김정석·백경서 기자 kim.jungseok@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