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월 기준 한화…하자 판정 인정 비율 8.9%
뉴스1 ⓒ News1 오대일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황보준엽 기자 = 최근 6개월간 공동주택 하자가 가장 많은 건설사는 한화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가 하자심사분쟁조정위원회에 신청된 공동주택 하자 처리 현황과 주요 건설사별 올해 상반기(4차) 하자 판정 결과를 24일 공개했다.
최근 6개월(지난해 9월~올해 2월)을 기준으로 가장 많은 하자 판정을 받은 건설사는 한화(97건)였다. 공급 가구 수는 1091가구로, 하자 판정 인정 비율은 8.9%였다.
한화 관계자는 "해당 단지는 수년전 입주한 단지로 조치를 완료했으나, 민원이 취하되지 않아 판정 건수가 높게 나타난 것"이라며 "놀이터 재질변경을 위해 하자심의위원회로 직접 접수가 진행된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시공 능력 평가 10위 안에 든 건설사 중에선 현대건설을 제외하고 대우건설(14위)이 최근 6개월간 하자 판정 건수 상위 2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계룡건설산업(603건)과 대방건설(507건), 대명종합건설(349건), 에스엠상선(322건)이 그 뒤를 이었으며, 지난해 10월 3차 발표 당시 순위와 유사했다.
대우건설(6위)과 현대엔지니어링(9위), 현대건설(10위), 롯데건설(19위)도 20위 권 내 위치했다.
하자 판정 비율이 높은 상위 건설사는 삼도종합건설(800%)과 서해종합건설(650%), 아이온산업개발(333.3%), 한경기건(171.7%) 및 라임종합건설(150%) 순으로, 공급 가구 수가 50가구 미만인 소규모 건설사가 주를 이뤘다.
실제 하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있는 '하자심사'는 2020년부터 올해 2월까지 약 5년간 총 1만 989건이 신청됐으며, 이중 최종 하자로 판정받은 비율(하자 판정 비율)은 67%(7411건)였다.
지난해 하자심사 건수는 총 1774건으로 이 중 1399건이 하자로 판정돼 하자 판정 비율은 78.9%로 나타났는데, 하자 판정 비율은 2020년부터 매년 꾸준히 증가 추세다.
하자로 인정된 주요 유형을 살펴보면, 기능 불량(15.2%), 들뜸 및 탈락(13.8%), 균열(10.3%), 결로(10.1%), 누수(7.1%), 오염 및 변색(6.6%) 순으로 집계됐다.
이어 "국민의 알권리를 강화하고 건설사가 품질개선을 도모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하자 관련 자료를 지속 투명하게 공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wns8308@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