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 치킨 한 마리 사주는 것도 부담스럽습니다”
“(아들) 학원비 생각하면 머리가 아픕니다”
국민 10명 중 7명은 가계 형편이 작년보다 악화됐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씨처럼 국민 10명 중 7명은 가계 형편이 작년보다 악화됐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 상승이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됐다. 연초부터 배추와 무 등 농산물 가격이 오르는 가운데 최근에는 라면, 스낵 등 각종 먹거리까지 줄줄이 인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경제인협회가 전국 19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71.5%는 가계경제가 1년 전보다 악화했다고 답했다. 개선됐다는 응답은 28.5%였다.
가계경제가 얼마나 개선 또는 악화했는지 묻자 '20∼30% 악화'가 26.4%로 가장 많았고 '0∼10% 악화'(23.2%), '10∼20% 악화'(21.5%), '0∼10% 개선'(18.5%) 순이었다.
경제적 어려움이 가장 큰 분야는 '물가 상승'(71.9%)이 압도적이었고 '실질 소득 감소'(11.9%), 일자리 부족·불안정(9.5%)이 뒤를 이었다.
물가가 가장 크게 오른 부문으로 식료품·외식비(72.0%)가 가장 많이 꼽혔고 에너지 비용(11.0%), 주거비(4.5%), 공공요금(3.4%) 등 순이었다.
서울 시내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일자리·사업 안정성에 대해서는 '불안정' 43.1%, '안정적' 26.5%였다. '보통'은 30.4%였다.
가장 필요한 물가 정책은 '생필품 가격 안정화'(58.4%), '에너지 가격 안정'(13.9%), '취약계층 선별 지원'(9.7%), '소비 관련 세금 감면'(7.9%) 순이었다.
가계부채와 관련해선 '가계부채 증가 요인 해소 정책 강화'(41.1%)가 가장 많았고 '부동산 시장 안정화'(31.6%), '취약계층 부채상환 지원'(13.0%)이 뒤를 이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장기간의 경기침체와 고물가로 국민들의 가계형편이 매우 어려워지고 있다”며 “기업 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해 투자·고용 확대를 유도하고 먹거리 물가안정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 강남구 대치동 학원가 건물에 학원 간판이 즐비하게 설치돼있다.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편 고금리·고물가·고환율의 ‘3고’가 장기화하는 가운데, 지하철·광역철도·수도료 등 각종 공공요금마저 인상을 결정하거나, 인상안이 검토되고 있어 서민 경제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서울시에 따르면 수도권 지하철 기본요금은 오는 4~5월 사이 1400원에서 1550원으로 150원(10.7%) 인상될 예정이다. 지난 2023년 10월 기본요금이 1250원에서 1400원으로 인상된 이후 1년 반 만의 인상이다.
광역철도와 서울 하수도 등 각종 공공요금에 대한 인상안도 거론되고 있다.
코레일은 서울에서 부산까지 5만9800원인 고속철도(KTX) 운임을 7만원까지 올리는 인상안을, 서울시는 하수도 요금을 2030년까지 5년간 매년 9.5%씩 올리는 방안을 내부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