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한 커피 소비 증가 넘어…카페 문화 확산, 브랜드 충성도 강한 소비자층 덕분
![]() |
서울 시내에서 시민들이 스타벅스 음료를 마시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최근 한국의 스타벅스 매장 수가 일본을 넘어섰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커피 공화국'이라는 별명이 더욱 실감 나고 있다. 한국의 인구는 약 5000만 명으로 일본(1억 2000만 명)보다 적지만, 스타벅스 매장 수는 일본보다 많아졌다.
전문가들은 한국인들의 커피 문화와 라이프스타일 변화가 이러한 현상을 만들었다고 분석한다. 한국에서는 카페가 단순히 커피를 마시는 공간이 아니라, 업무를 보고, 공부를 하고, 친구를 만나는 중요한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이에 따라 스타벅스를 비롯한 다양한 프랜차이즈 카페들이 꾸준히 증가해 왔다.
한국에서 스타벅스가 꾸준히 성장하는 이유는 단순한 커피 소비 증가를 넘어, 카페 문화의 확산과 브랜드 충성도가 강한 소비자층 덕분이라는 분석이다.
한국의 인구는 약 5200만 명으로 일본(1억 2500만 명)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지만, 1인당 스타벅스 매장 수는 일본보다 많다. 일본은 1996년 도쿄 긴자에 스타벅스 1호점을 개점하며 북미 이외 지역 중 최초로 스타벅스가 진출한 나라다. 한국은 일본보다 3년 늦은 1999년, 서울 이화여대 앞에 1호점을 열었지만, 25년 만에 매장 수 2000개를 돌파했다. 특히, 2020년 이후 4년 동안 500개의 매장이 추가되면서 평균적으로 사흘에 한 개꼴로 새로운 매장이 생겨났다.
스타벅스 코리아(SCK컴퍼니)는 이마트가 67.5%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매장 확장 덕분에 2023년 매출이 처음으로 3조 원을 넘어선 것으로 보인다. 영업이익률은 2021년 10%에서 2023년 4.8%로 하락했으나, 지난해에는 다시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2023년 1~3분기 누적 영업이익률은 6.2%를 기록했다.
![]() |
서울의 한 스타벅스 매장. 게티이미지뱅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국에서 커피는 단순한 기호식품이 아닌 일상의 필수 요소로 자리 잡으며 시장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업무 효율성과 피로 해소를 위한 커피 소비가 늘어났으며, 전국적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카페 환경도 커피 소비 증가를 뒷받침하고 있다.
2022년 말 기준 국내 커피 전문점 수는 10만 729개로 10만 개를 돌파했다. 특히, 저가 커피 브랜드 매장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편의점에서도 쉽게 커피를 즐길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다.
업계 관계자는 "우리나라만큼 커피를 많이 소비하는 국가는 드물다"며 "하루에 2잔 이상 마시는 사람도 많다"고 말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