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온에서 전자 이동없이 전류 만들어내
'스핀펌핑' 발열 없고 에너지 손실 최소화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경진(왼쪽)·김갑진(가운데) 교수와 서강대 정명화 교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파이낸셜뉴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경진·김갑진 교수와 서강대 정명화 교수 공동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상온에서 양자역학적 스핀 펌핑 현상을 발견하고 이를 실험적으로 입증했다. 즉 상온에서도 전자의 이동 없이도 전류를 만들어 낸 것으로, 이를 이용하면 발열이 거의 없고 에너지 손실이 적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기존 반도체 기술보다 빠르게 정보 전달도 가능해 초절전 전자기기를 만들 수 있다.
이번 연구는 기존의 스핀을 이용한 전자 기술인 '스핀트로닉스' 분야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으며, 양자역학적 스핀 펌핑이 기존 방식보다 최소 10배 이상 효율적이라는 점이 밝혀졌다.
연구진은 이 연구 결과를 최고 권위의 국제 과학 학술지 '네이처(Nature)'에 30일(한국시간) 발표했다.
스핀은 전자의 회전하는 성질로, 이를 이용하면 전기처럼 흐르는 '스핀 전류'를 만들 수 있다. 기존 방식(고전역학적 스핀 펌핑)은 자석 내부의 자기장이 흔들리면서 스핀 전류가 발생하는 방식이었다. 반면, 연구팀이 이번에 입증한 양자역학적 스핀 펌핑은 자기장의 방향이 고정된 상태에서 자기 크기가 변화하면서 스핀 전류가 생성되는 새로운 방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대부분의 양자역학적 현상이 극저온에서만 관측되는 것과 달리, 이번 연구에서는 상온에서 양자역학적 스핀 펌핑을 관측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기존 고전역학적 방식보다 10배 이상 강한 스핀 전류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차세대 전자 소자 및 양자기술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강대 #과기정통부 #KAIST #네이처 #스핀트로닉스 #양자역학 #양자기술 #스핀펌핑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