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무장관 지명자, 한국 가전 거론하며 "동맹이 우리 선량함 이용"
'당근'보다 '채찍'으로 美 현지생산 촉구…삼성·SK 반도체 보조금도 안갯속
트럼프 미국 대통령 |
(워싱턴=연합뉴스) 김동현 특파원 =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도 1기처럼 미국 제조업 부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한국 등 다른 나라의 기업을 관세로 협박하며 대미 투자를 종용하는 행태가 반복될 것으로 보인다.
또 트럼프 행정부가 전임 바이든 행정부에서 추진한 각종 산업정책에 부정적인 인식을 드러내면서 그런 정책을 바라보고 미국에 투자해온 한국 기업의 사업에 차질이 생길 우려가 제기된다.
트럼프 대통령의 산업·무역 정책을 총괄할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 지명자는 29일(현지시간) 상원 인사청문회에서 "우리의 훌륭한 동맹들은 우리의 선량함을 이용해왔다"면서 일본의 철강과 한국의 가전을 사례로 거론했다.
그는 "관세가 기업들이 돌아와서 미국에서 (제품을) 만들도록 장려할 것이라 생각한다"고 했으며, "우리는 관세로 상호주의, 공정성과 존경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7일 하원 공화당 행사에서 미국 기업 월풀이 한국의 세탁기 덤핑 때문에 공장을 닫을 지경이었다면서 "우리는 50%, 75%, 심지어 100% 관세를 부과했고 이제 그들은 번창하고 있다. 트럼프가 없었다면 그들은 문을 닫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1기 행정부는 월풀을 돕기 위해 임기 첫해인 2017년 6월 세탁기에 대한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 조사를 시작했고, 2018년 1월 한국산 세탁기에 고율 관세를 부과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말한 75%, 100% 관세까지는 아니었지만,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세이프가드 결정 전부터 검토해온 미국 현지 공장 가동을 서두르는 동력이 되기에는 충분했다.
LG전자 미국 테네시주 가전공장 |
반면 트럼프 대통령은 제조업 재건이라는 같은 목적으로 바이든 행정부에서 시행한 보조금 정책에는 부정적인 시각을 드러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공화당 행사에서 대만이 반도체 사업의 90%를 가져갔다는 주장을 반복하며 컴퓨터 칩, 반도체, 제약 생산을 미국으로 가져오기 위해 이들 품목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바이든 행정부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대만 TSMC 등 미국에 반도체 공장을 짓는 기업에 주기로 한 반도체법 보조금을 비판한 것이다.
러트닉 지명자도 이날 청문회에서 '바이든 행정부가 기업들에 주기로 한 반도체법 보조금 계약을 이행하겠냐'는 질문에 "내가 이행을 약속(commit)하기 위해서는 계약들을 읽고 분석해 이해해야 할 것"이라며 검토 전에는 보조금 지급을 장담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다만 러트닉 지명자가 반도체법이 초당적 지지로 의회를 통과했다는 점에 주목하며 그 취지에 전적으로 공감했다는 점에서 그가 보조금 자체를 문제 삼기보다는 바이든 행정부의 색채가 강한 부분에만 손댈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흥미롭게도 러트닉 지명자는 관세의 목적이 외국 기업뿐만 아니라 해외로 생산거점을 옮긴 미국 기업도 겨냥한 것임을 시사했다.
그는 대만의 TSMC가 미국 반도체 사업을 가져갔다고 주장하면서 "누가 TSMC가 그렇게 하게 만들었느냐. 애플이다. 누구의 애플이냐. 미국의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가진 것처럼 굉장한 기술 기업과 제약 회사를 가진 나라는 없다. 그런 기업들과 제조업과 혁신을 가져와서 그런 제조를 미국에서 미국 노동자로 하게 하자"고 주장했다.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 지명자 |
bluekey@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