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트럼프 ‘입’ 아닌 ‘취임 후 행동’ 봐야…“미국장은 식지 않는다”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美 증시 최대 변수 ‘이민자·관세’

 10% 관세→물가 1.5% 추가상승

집권초 극단적 정책 시행에는 한계

빅테크 규제 완화·감세 호재 여전

13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 직원이 주가를 살펴보고 있는 모습. [A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오는 20일 트럼프 2.0 행정부가 공식 출범한다. 트럼프는 취임 첫날부터 불법 이민자 추방 및 감세·관세 폭탄 등을 예고하며 미국 우선주의 귀환을 선언할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미국 증시에서 올해 가장 큰 변수로 트럼프의 이민자·관세 정책을 꼽았다. 물가 상승 압력을 부추기며 자칫 자충수가 될 수가 있기 때문이다. 이미 연방준비제도(Fed)도 이 같은 우려를 반영해 금리 인하 속도에 제동을 걸고 있다. 그러나 투자 업계에서는 취임 전 트럼프의 ‘입’보다는 취임 후 그의 행동을 지켜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최악의 시나리오는 보편적 관세 부과와 이민자 추방 정책이 경기 침체를 초래하는 경우다. 한국 딜로이트 인사이트가 지난해 7월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 교역가중치 기준 관세율은 1.5~3% 인상됐고 이에 따라 소비자물가는 약 0.3% 상승했다.

이를 바탕으로 2기 행정부에서 유사한 산식을 적용할 경우,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이 48%포인트 상승하면 수입제품 가격도 1.1% 오를 것으로 예측했다. 여기에 10%의 보편적 관세는 물가를 1.5% 추가 상승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민자 추방 정책으로 노동력 공급마저 위축된다면 미국 경제는 걷잡을 수 없게 된다.

14일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가 130만 명의 이민자를 추방하면 2028년까지 물가가 1.5% 인상되고 830만명의 이민자를 추방하면 물가가 9.1% 인상된다고 추산했다. 인플레이션 압박과 더불어 공급이 축소되는 경기 침체 국면을 맞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다만, 트럼프 2.0 행정부의 철학이 ‘마가(MAGA·Make America Great Again·미국을 다시 위대하게)’인 만큼 미국 경기에 타격을 줄 만큼 무리한 정책을 펼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NH투자증권은 보고서에서 “트럼프 1기에 발발한 무역분쟁 이후 2년간 미국 관세 수입은 1237억달러로 크게 상승했지만 관세 인상된 관련 품목들의 소비재 가격 역시 크게 상승했다”라며 “코로나19 이후 물가는 더 크게 폭등한 상황에서 트럼프 2기 추가 고율 관세 부과에 따른 물가 파장 효과는 과거보다 더 클 것이라는 점에서 극단적 정책 시행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특히 취임 초기에는 에너지 정책과 재정 정책을 바탕으로 한 경기 부양책에 집중할 가능성이 높다. 트럼프는 ‘유정을 뚫고 또 뚫는다(Drill Baby Drill)’ 관련 행정 명령을 통해 원유 생산을 확대하고 유가를 낮추는 데 집중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아울러 오는 3월 15일로 예정된 2025 회계연도 예산안 마감 기한까지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고 있다. 트럼프 2.0 행정부 내에서는 우크라이나 지원금 및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관련 지원금을 중단하고 파리 기후협약과 세계보건기구(WHO) 등 국제기구에서 탈퇴하는 등 정부 지출을 대폭 줄이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알려졌다.

조연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행정부는 집권 초기 대규모 지출 삭감이나 물가 상승 등 지지율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책 시행에는 신중을 기할 것으로 보인다”라며 “과거에도 대통령 취임 직후 허니문 기간 동안 경기 부양에 주력해 지지 기반을 다졌던 사례가 이를 뒷받침한다”고 말했다. 이어 “관세 인상과 같은 비용 부담 정책은 대부분 다음 해로 미뤄졌다는 점에서 이번에도 유사한 접근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미국 증시는 지난해만큼 뜨겁진 않더라도 식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점쳐진다. 특히 증시를 견인했던 빅테크 중심의 규제 완화 정책과 감세 정책은 미국 증시 상승의 호재로 작용한다. 트럼프 2.0 행정부는 ‘오픈 AI 등 사용자 중심의 안전 중시를 위해 정부 기관의 안전성 검사 의무화 규제 폐지’, ‘국방 분야 AI 사용을 활성화’ 등 정책을 내세우며 기업에 힘을 싣고 있다.

지난해만큼 미국 증시가 뜨겁지는 않더라도 빅테크 기업을 중심으로 증시가 식지는 않는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김승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작년보다 미국 증시 상승률은 높지 않겠지만 방향성은 유지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다만, 1분기에는 조정 국면을 피하기 어렵다고 내다봤다. 그는 “금리 인하 속도에 따른 부담과 그간 높은 밸류에이션에 따른 부담으로 연초 조정 가능성이 있다”라며 “구정이 지나고 실적 발표를 통해서 기업들의 수익성이 확인되는 시점 이후에는 다시 한번 미국 증시가 반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비트코인, 테슬라처럼 개별 종목에 집중하기보다는 산업단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트럼프 취임 전부터 개별 종목이 과열된 양상이었으나 현재는 식어가는 분위기로 설명이다. 김승혁 연구원은 “개별 종목보다는 산업별로 접근하는 추세”라며 “에너지와 방위 산업 등 트럼프 2.0 행정부의 산업 활성화 정책에 집중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신주희 기자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