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시간 10분이내, 비행거리 1100km…추가 도발 가능성
블링컨 방한, 美 새정부 출범, 한국 정치혼란 가중 다목적 포석
합동참모본부는 6일 정오쯤 북한이 평양일대에서 동해상으로 극초음속미사일로 추정되는 미사일 1발을 발사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지난해 4월 3일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한 극초음속 활공비행 전투부를 장착한 중장거리 고체탄도 미사일 '화성포-16나' 형 첫 시험발사 장면. /연합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시아투데이 이석종 국방전문기자 = 북한이 6일 개량형 극초음속미사일로 추정되는 미사일 1발을 쏘는 군사적 도발을 감행했다. 지난해 1월과 4월 발사한 중거리탄도미사일급 극초음속미사일 개발과정의 연장선에서 시험 발사를 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북한의 미사일 도발은 한국의 정치적 혼란을 부추기고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의 방한을 견제하기 위한 행동으로 풀이된다. 특히 올해 들어 첫 탄도미사일 발사를 두고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을 2주 앞두고 미국 새정부에 보내는 정치적 메시지라는 해석까지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우리 군은 오늘 정오쯤 평양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된 탄도미사일 1발을 포착했다"며 "북한의 미사일은 1100여 ㎞ 비행 후 동해상에 탄착했다"고 밝혔다.
합참은 "한·미 정보당국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 준비 동향을 사전에 포착해 감시해 왔으며, 발사 시 즉각 탐지하여 추적했다"며 "미국, 일본과 관련 정보를 긴밀하게 공유했고, 세부 제원은 종합적으로 분석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합참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명백한 도발행위로 강력히 규탄한다"며 "우리 군은 현 안보상황에서 북한이 오판하지 않도록 굳건한 한·미 연합방위태세 하에 북한의 다양한 동향에 대해 예의주시하면서, 어떠한 도발에도 압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과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합참은 이날 북한이 쏜 미사일이 극초음속미사일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세부적인 제원 등을 분석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북한의 추가 탄도미사일 발사 징후를 포착하고 이에 대한 대비도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초기 발표에서 '중거리급'이라고 언급한 것을 최정 발표에서 제외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합참 관계자는 "이번 미사일의 비행시간은 10분 이내, 비행거리는 1100㎞ 정도 나왔는 데 이를 중거리라고 표현하기엔 부적절해서 제외한 것"이라며 "다만 이번 미사일의 엔진이 중거리탄도미사일에 사용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이 관계자는 "현재 평양 인근에서 이동식미사일발사대(TLE)의 움직임이 지속적으로 파악되고 있다"며 "중거리급 이상의 탄도미사일을 추가 발사 할 수도 있어 보인다"고 전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참관 가능성에 대해 이 관계자는 "좀 더 분석을 해봐야 한다"고 말을 아꼈다.
한·미 군 당국은 사전에 북한의 미사일 발사 동향을 파악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 직전인 이날 오전 미국의 정찰기인 RC-135(코브라볼)가 오키나와에서 출발해 동해상으로 비행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 북한의 미사일 도발과 관련해 한 전문가는 "한국의 극심한 정치 혼란기에 북한이 미사일을 쏜 이유를 면밀히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며 "우선은 블링컨 장관의 방한에 대한 대응과 트럼프 정부 출범을 앞둔 시기에 미국에 보내는 메시지로 풀이되지만 한국의 정치 혼란을 부추기려는 측면도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김 위원장 참관한 신형중거리미사일 시험발사일 가능성이 높다"며 "김 위원장이 최근 민생경제현지도를 했다는 점에서 이번에는 군사분야 현지지도를 했을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말했다.
특히 양 교수는 "당전원회의 직후라는 점에서 전원회의 군사분야결정서 이행의지를 내비친 것으로 볼 수 있다"며 "올해 국방발전 5개년 계획의 마무리 해로서 연초부터 속도를 내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고 분석했다.
또 양 교수는 "고도 100㎞, 사거리 1100㎞라는 점에서 한반도용이면서 후방기지인 주일미군에 대한 무력시위 성격도 있다"며 "한반도의 군사적 주도권을 과시하면서 한·미·일의 대응을 탐색하려는 의도가 담겼다"고 평가했다.
이어 양 교수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14일 전이라는 점에서 대미기선제압용으로도 볼 수 있다"며 "당전원회의에서 밝힌 최강력 대미 대응 전략이 빈말이 아님을 과시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