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뱅킹 한달간 275억·계엄 다음날 84억↑
5대 은행, 지난해 12월 골드바 판매액 188억
트럼프·지정학적 리스크에 상승세 지속 전망
12·3 계엄 사태 이후 안전자산으로 알려진 금을 찾는 투자자들이 늘고 있는 15일 서울 종로구 한국금거래소 외벽에 설치된 골드바 홍보물 앞으로 관광객들이 오가고 있다. 최근 등락을 반복하던 금 가격은 비상계엄 사태 이후 연일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다. 올 들어 금값은 사상 최고치를 거듭하며 연초 대비 33% 이상의 상승 랠리를 나타냈는데, 이는 미국 증시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 상승률(약 15%)의 두 배를 뛰어넘는 수준이다. 2024.12.15/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정치·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안전자산' 금을 찾는 수요가 크게 늘었다. 지난해 12월 은행에서 판매하는 골드뱅킹 계좌의 잔액이 증가했고 골드바 판매액 규모도 평소보다 컸다. 계엄 사태 이후 국내 금값이 8% 가까이 올랐는데, 앞으로 더 상승한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금의 인기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골드뱅킹을 취급하는 시중은행 3곳(KB국민·신한·우리은행)의 골드뱅킹 잔액은 지난해 12월 말 기준 7681억원으로 한 달 동안 275억원 늘었다.
골드뱅킹이란 실물 인수 없이 금을 0.01g(그램) 단위로 매입할 수 있는 은행의 금 투자상품으로, 금값이 더 오른다는 기대가 있거나 안전자산을 선호하는 흐름일 때 골드뱅킹 잔액이 느는 경향이 있다.
최근 정치·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지는 만큼 안전자산으로서 금을 많이 찾았던 것으로 풀이된다. 보통은 금값이 높으면 매도세에 잔액이 줄어드는데, 최근엔 금값이 높은데도 금을 매입하려는 동기가 더 강하게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12.3 비상계엄' 사태가 결정적이었다. 골드뱅킹 잔액은 '계엄 사태' 다음날인 지난해 12월4일 하루에만 84억원 증가했다. 이후에도 지속해서 잔액이 늘었다.
같은 기간 골드바 판매량도 대폭 늘었다. 지난해 12월 5대 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골드바 판매액은 약 188억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10월에 팔린 골드바의 월평균 판매액 130억원을 훌쩍 넘은 수준이다. 계엄 사태 직후에는 하루에 15억~16억원어치 골드바가 팔려나간 날도 여럿 있었다. 보통은 하루에 7억~8억원 정도 팔린다.
은행권 골드뱅킹 잔액 추이 및 골드바 판매액/그래픽=윤선정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금값이 줄곧 오름세인데다 앞으로도 오를 것이란 기대감 역시 금 매입을 부추긴 요인으로 거론된다. 불안정한 정국에 증시가 크게 흔들렸지만 금값은 계속 상승했다. 국내 금값은 지난 2일 기준 1그램당 12만8790원으로 지난해 12월 초(11만9310원)와 견줘 한 달 새 약 7.9%나 상승했다.
글로벌 시장도 금값 상승을 전망했다. 올해 출범하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 방향성이 안갯속이고, 지정학적 리스크 등 글로벌 불확실성이 상존해 당분간 금 가격을 견인할 수 있다는 해석이다. 월가의 대형 투자은행 JP모건과 골드만삭스 등도 올해 금 목표가격을 온스당 3000달러로 제시했다. 현재는 온스당 2600원 선에 놓여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계엄 직후 고객들이 안전자산을 확보하기 위해 금을 매입했다"며 "그 이후 금값이 계속 오르면서 최근 들어선 투자 목적으로도 골드뱅킹을 문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병권 기자 bk223@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