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화, 달러당 7.3위안 넘으며 ‘포치’…동조화로 ‘원화 약세’ 유인 커
중, 트럼프 2기 관세 대응 ‘통화 정책’·비야디 등 한국 진출도 악영향
지난해 말 1486.7원까지 치솟았던 원·달러 환율은 이후 1470원 내외에서 움직이고 있다. 정치적 불확실성의 영향으로 환율의 하단이 크게 내려가진 않고 있지만, 외환당국 개입 경계감으로 상승 동인은 어느 정도 제한된 상황이다.
다만 대외 여건은 여전히 원화에 비우호적이다. 달러인덱스(주요 6개국 통화와 달러 가치를 비교한 지수)가 약 2년2개월 만에 처음으로 109를 돌파하는 등 강달러 압력이 커지고 있다.
지난 3일에는 환율이 달러당 7.3위안을 넘어섰다. 달러당 위안화가 7위안을 넘는 것을 ‘포치’라 부르는데, 위안화 환율의 심리적 저항선으로 여겨진다.
국제 금융시장에서 원화는 위안화와 동조화 흐름을 보이기 때문에, 위안화 약세가 가파르게 전개되면 원화 역시 약세 유인이 커질 수 있다.
위안화가 약세를 보이는 건 중국 경제가 워낙 부진한 탓에 금리가 급락한 영향이 크다. 지난해 초 2.5%를 웃돌았던 중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3일 1.5%대까지 밀리며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여기에 중국 정부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인상 계획에 대응해 위안화 약세를 용인하는 방식으로 관세의 악영향을 방어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국이 높은 관세율을 부과하면 중국산 수출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만큼, 이를 상쇄하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는 지난 3일 보고서에서 “중국은 트럼프 1기 때와 마찬가지로 미국 관세 정책에 대응해 위안화 약세를 유도할 것으로 관측되며, 동조성이 높은 원화에 절하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중 무역갈등이 고조된 2019년 위안화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 ‘포치’가 나타나며 약세를 보였다.
중국의 저가 수출 및 국내 기업과의 기술 경쟁도 한국의 펀더멘털(기초체력)을 약화시켜 원화 약세로 이어질 수 있다. 내수가 부진한 중국이 저가로 ‘밀어내기 수출’을 단행하면서 한국의 수출이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세계 1위 전기차 업체인 BYD(비야디)는 이달 저렴한 가격과 기술력을 앞세워 한국 진출을 앞둔 상태다. 이승재 iM증권 연구원은 “중국 산업의 국내 침투는 국내 산업 경쟁력 저하로 직결되면서 원화 약세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최악의 경우 고환율이 소비를 제약해 기업경기 침체와 내수 부진이 나타날 수도 있다. 권희진 KB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동기 대비 환율 상승폭(14%)을 고려해 계산하면 이론적으로 소비자물가를 1.4%가량 높일 수 있다”며 “고환율이 길어질수록 실질구매력이 더 떨어지고 내수에 추가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했다.
김경민 기자 kimkim@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