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점에서 학교의 고민도 '현 시국'과 묘하게 닮았다는 의견이 적지 않다. 지난해 이맘때쯤 '늘봄학교'로 들썩였던 학교가, 올해는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로 종목을 갈아탔다는 불만이 그것이다.
AI교과서는 두 번째 교육부 장관을 하는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주도하는 정책이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수업 진도를 따라오지 못하는 학생들을 AI가 분석해 해법을 제시하고, 이해력이 높은 학생들에게는 심화 학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개념이다.
사회부 김범주 차장 |
기초학력 부진 문제, 교육격차 해소 등과 같은 교육계의 고질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상적 도구로 제시됐다. 이상적인 정책이 아닐 수 없다. 학령인구 감소에 비례해 교사를 줄여야 한다는 압박을 받는 교육당국 입장에서는 매력적 선택지가 AI교과서다.
하지만 교과서 인정 여부를 떠나 근본적으로 AI교과서가 '디지털기기'에 불과하다는 한계를 극복하지 못했다. 디지털기기가 어린 학생들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에 대한 기본적 검증도 부족했다.
이미 자녀들과 디지털기기 '전쟁'을 벌이는 학부모 입장에서 AI교과서 도입은 반가운 소식은 아니다. 최근 교육부가 공개한 '스마트폰 및 SNS 사용 실태' 조사만 봐도 그렇다. 중고교생의 하루 스마트폰 평균 사용 시간이 평일 4시간 17분, 주말 6시간 40분이었다. 이는 인터넷 강의 및 교육시간을 제외한 스마트폰 이용 시간이다.
지나치게 '속도'를 강조한 한계도 있었다. 애초 지난해 5월까지 개발을 마치고, 8월까지 검정을 마친 후 현장 적합성 검토까지 한다는 것이 교육부 계획이었지만, 일정 자체가 현실성이 없다는 지적이 많았다.
실제 AI교과서를 '교육자료'로 전환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개정 초·중등교육법의 국회 통과가 임박하자 '도입을 1년 늦추는 방안'을 협상안으로 제시하며, 준비가 부족했다는 점을 인정한 모양새를 취했다.
학교가 경험한 '디지털 트라우마'를 해결하지 못한 문제도 있다. 2023년 '4세대 교육행정 정보시스템(나이스)' 개통 이후 시스템 안정화 작업에만 수개월이 소요됐다. 시험 문제 출력이 되지 않아 곤욕을 치러야 하는 경험은 학교 몫이었다.
지난 1년 성과로 꼽는 '늘봄학교'의 배경에는 그린스마트미래학교와 같은 학교 현대화 사업이 있었다. 바닥에서 시작해야 하는 AI교과서와는 출발점이 다르다.
그리스신화에 프로크루테스의 침대가 등장한다. 본인이 세운 일방적 기준이나 원칙에 다른 사람들이 무조건 따라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거나, 타인의 상황은 고려하지 않은 채 본인의 생각을 고집할때 일반적으로 쓰인다.
2025년 신년사에서 '함께 차담회'를 통해 "소통의 중요성을 더욱 깊이 마음에 새기게 됐다"고 했지만, 학교 현장의 마음을 얻지 못한 불통의 이유를 되짚어야 할 것이다.
wideopen@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