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10 (금)

[리노베이션·레볼루션 코리아] 대구 지역소득 서울의 절반…지역경제 소외 임계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구 1인당 GRDP, 전국 평균에도 못 미쳐

수도권 GRDP는 전국의 절반 이상 차지

수도권-비수도권 간 성장률 격차도 심화

"국가 성장 약화…교통 인프라 등 선결돼야"

아주경제

[사진=대구달성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지역 간 성장 격차가 확대 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도·충청권에 비해 부산·울산·경남과 대구·경북, 호남권의 부진이 두드러지는 모습이다.

지방 경제 소외가 지속될 경우 국가 경제의 성장 기반이 지속적으로 약화할 수밖에 없어 지역 간 생산성 차이를 좁히는 데 주력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환경 규제, 교통 인프라 문제 해소 등이 선결 과제다.

1일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대구의 1인당 지역내총생산(GRDP)은 3098만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5825만원)의 절반 수준이자 전국 평균(4649만원)에도 못 미친다.

지역내총생산은 일정 기간에 일정 지역 내에서 새로이 창출된 최종 생산물 가치의 합을 의미한다. 각 시도 내에서 경제활동별로 얼마큼의 부가가치가 발생했는지를 나타내는 경제지표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과 비수도권 격차는 더 뚜렷해진다.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의 전체 지역내총생산 규모(1258조원)는 전국의 52.3%를 차지했다.

반면 비수도권의 경우 △동남권(부산·울산·경남) 342조원 △충청권(대전·세종·충남·충북) 302조원 △호남권(광주·전남·전북) 214조원 △대경권(대구·경북) 200조원에 그쳤다.

이들 간 성장률 격차는 수년간 확대되는 양상을 보였다. 한국은행이 발간한 '지역경제 성장요인 분석과 거점도시 중심 균형발전' 보고서에 따르면 1990~2010년 중 동남·호남·대경권 성장률(5.8%)은 수도·충청권(6.4%)의 90% 수준이었다. 하지만 2011~2022년 중에는 동남·호남·대경권 성장률(1.4%)이 수도·충청권(3.4%)의 40% 정도에 불과했다.

정민수 한은 지역연구지원팀장은 "수도·충청권과 그 외 지역 간 성장률 격차는 인구 및 자본 이동으로 인한 총요소생산성 차이에 주로 기인했다"며 "이 같은 추세가 지속될 경우 지역경제의 성장 잠재력이 훼손돼 국가 경제의 안정과 성장 기반이 약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생산성이 높은 수도권으로 인적·물적 자원이 집중되면서 지역경제의 성장 잠재력이 더욱 저하되고 있다는 뜻이다. 수도권과 그 외 지역 간 생산성 차이를 좁히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한은 자체 분석 결과 지역 거점도시 집중 투자로 생산성을 제고하면 주변 지역으로 효과가 파급되면서 전국 국내총생산(GDP)이 1.3% 성장하는 효과로 이어진다. 수도권 위주로 생산성을 개선했을 때보다 더 나은 성과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서울과 지방 대도시 간 불균형 문제도 있지만, 지방 대도시와 농촌 간 불균형도 크다"며 "지금의 격차는 상당히 치명적인 수준"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도시 집중 현상이 일어나니 수도권 집값 상승과 저출산 문제 심화 등 여러 문제가 파급되고 있다"며 "지방에 공장, 기업 등이 유치되려면 환경 규제, 교통 인프라 문제가 선결돼야 한다"고 부연했다.

박진경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위원은 "지역 정책이 지향해야 할 궁극적 목표는 그 지역 속에 살고 있는 사람이 물질적, 정신적으로 만족할 수 있는 지역을 만드는 것"이라며 "지역의 정주 환경 개선에만 매몰될 것이 아니라 규모의 경제를 누릴 수 있도록 사업 방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아주경제=장선아 기자 sunrise@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