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4 (토)

美 '14조원 대출'까지 받았다…2025년은 SK온 '북미 반격'의 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SK온의 북미 생산라인/그래픽=김지영


SK온이 자금 조달 문제를 사실상 매듭짓고 북미 시장을 중심으로 반격을 준비한다. 2025년을 IPO(기업공개) 성공을 위한 발판으로 만들 수 있을지 여부가 관건이다.

30일 배터리 업계에 따르면 SK온과 포드의 JV(합작사)인 블루오벌SK는 최근 DOE(미 에너지부)로부터 96억3000만 달러(약 14조원) 규모의 정책자금 차입을 최종 승인받았다. ATVM(첨단기술차량제조) 프로그램의 일환이다. 블루오벌SK는 지난해 6월 이 차입의 조건부 승인을 획득했었는데, 연내 대출을 확정받은 것이다.

SK온이 그동안 추진해 온 자금 조달의 마지막 퍼즐을 맞춘 격이다. 가장 큰 배터리 생산라인 구축 프로젝트가 블루오벌SK(127GWh)였기 때문이다. 그동안 수 십조원에 달하는 설비투자(CAPEX)를 해온 SK온의 자금 확보 여부는 시장의 관심사였다. SK온은 투자유치, 차입, 채권발행 등 수단을 총동원해 왔다. 모회사 SK이노베이션이 진행한 리밸런싱을 통해 연 5000억원 수준의 영업이익을 보장하는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SKTI)이 SK온에 흡수합병되기도 했다.

DOE 정책자금의 확보는 SK온의 재무상황 개선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실제 블루오벌SK는 최근 자본금을 16조원대에서 12조원대로 줄이는 감자를 진행하기로 했다. SK온과 포드가 각 2조원씩의 자본금을 회수하고, 블루오벌SK는 감소한 자본금을 DOE 대출로 확충하는 구조다. DOE 차입 금리는 미국 국채금리 수준으로 알려졌다. SK온 관계자는 "해외 투자 자본 효율성 제고를 위한 자본 재배치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머니투데이

SK온의 조지아 공장. 왼쪽이 조지아 2공장, 오른쪽이 조지아 1공장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K온이 북미에서 사업 확대에 나설 수 있는 기반이 더욱 단단해졌다. 블루오벌SK는 △2025년 켄터키 1공장(37GWh)과 테네시 공장(45GWh)을 △2026년 이후 켄터키 2공장(45GWh)을 가동할 계획이었는데, DOE 대출 확정으로 이같은 타임라인이 그대로 실현될 수 있게 됐다. 여기에 조지아의 현대차 JV(35GWh)도 내년 양산이 이뤄질 예정이다. 현재 22GWh인 북미 배터리 생산능력이 내년 139GWh으로 6배 확대된다.

지난 3분기 첫 분기 흑자전환의 상승세가 2025년 연간 흑자 달성, 2026년 상장으로 이어지기 위해선 북미에서의 확실한 실적이 필수적이란 평가다. 그동안 적자를 거듭하는 와중에도 북미에 대규모 투자를 해온 성과를 획득하는 게 중요한 시점이다. 내연기관 친화적인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출범을 앞두고 있지만, 트럼프 인수위가 K-배터리의 핵심 혜택인 AMPC(생산세액공제)의 폐지를 권고하지 않기로 했다는 소식이 들린 것은 호재다. SK온은 지난해부터 AMPC 총 8000억원 이상을 수령한 상태인데, 생산능력이 확대되는 내년부터 이 규모가 크게 늘어날 게 유력하다.

내년부터 투자 부담이 대폭 감소하는 시점이 열리기도 한다. 블루오벌SK를 마지막으로 더이상의 증설 계획이 없기 때문이다. 한국, 중국, 헝가리, 미국을 중심으로 각 지역마다 대규모 생산라인을 구축하는 작업이 사실상 내년 마무리된다. SK온의 설비투자는 최근 몇 년간 5조~7조원 사이에 달했지만, 내년에는 2조~3조원대에 그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SK온 입장에선 재무적 부담이 줄어든 가운데, 공장 풀라인업을 가동하는 첫 해가 2025년"이라며 "연간 흑자달성 여부가 2026년 IPO의 성패를 좌우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경민 기자 brown@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