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직 기자들이 모인 광주·전남언론인회 회원들이 26일 광주광역시의회 브리핑룸에서 옛 전남도청 보도검열관실 복원 촉구 기자회견을 열어 1980년 당시 전남도청에 있었던 보도검열관실 위치를 설명하고 있다. 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5·18민주화운동의 참상을 제대로 보도하지 못한 점에 대해 사과드린다. 두려웠다. 전국적인 보도검열 사례를 보여주는 보도검열관실을 복원해 계엄과 보도검열의 위험성을 알려야 한다.”
26일 광주광역시의회 브리핑룸에 모인 광주·전남언론인회 회원들은 1980년 당시 광주 상황을 제대로 보도하지 못했던 점에 대해 설명하며 현재 원형 복원을 추진 중인 옛 전남도청에 보도검열관실을 복원해 계엄의 폐해를 후대에 알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직 기자들인 회원들은 “신군부는 광주시민이나 시위대를 모두 ‘폭도’로 쓰라고 보도지침을 내렸다. ‘과격한 진압’이라는 문구를 한 줄도 쓰지 못했다. 검열을 받지 않은 영상을 송출한 광주 문화방송(MBC) 직원 3명은 구속되기도 했다”며 “사실을 보도하지 않은 언론에 대해 시민 불신은 쌓였고 역사 왜곡은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광주·전남지역 신문사에서 근무했던 이들은 박정희 살해 직후인 1979년 10월26일부터 1981년 1월24일까지 매번 신문 지면 초안을 옛 전남도청 2층에 있던 ‘전남북 계엄분소 광주지구 보도검열관실’로 가져가 505보안대 소속 상사 계급 군인에게 검열을 받았다고 했다. 계엄 기간 전국적으로 검열 기사는 1만1천건으로, 이에 반발한 기자 800여명은 해직된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전남언론인회는 이런 폐해를 알리기 위해 옛 전남도청 보도검열관실을 복원하자는 의견을 문화체육관광부에 전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문체부가 당시 사진을 요구했다는 것이다. 이들은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며 약도와 내부 배치도, 증언을 대신 제출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달 18일 옛 전남도청복원추진단은 전시기본설계 설명회에서 원래 장소가 아닌 내무국장실에 보도검열에 대한 내용을 다루겠다고 했다. 원래 자리에 통로가 개설되면서 원형 복원이 힘들다는 이유였다.
광주·전남언론인회는 전국적으로 계엄 상황의 보도검열 역사를 보여줄 수 있는 공간이 전무한 상황에서 옛 전남도청이 적합한 장소라고 강조했다. 옛 전남일보 출신 김성 회장은 “12·3 내란사태 때 포고령 세 번째 조항을 보면 ‘모든 언론과 출판은 계엄사의 통제를 받는다’고 나와 있다. 윤석열이 내란에 성공했다면 모든 언론은 사실을 보도하지 못했을 상황”이라며 “보도검열관실을 원형 복원하는 한편 신군부의 보도검열을 조사할 수 있는 정부 조사위원회도 필요하다고 했다.
옛 전남도청복원추진단은 “보도검열관실 추정 자리에 통로가 생겨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기 힘든 상황”이라며 “추정 자리 인근에 별도 공간을 만들어 ‘보도검열관실’ 명패를 설치하고 자료를 검증해 전시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실시간 뉴스, ‘한겨레 텔레그램 뉴스봇’과 함께!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