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장우 대전시장, 성동호 대전시교육감 등이 지난 11일 대전 유등천 상류 둔치에서 열린 도시철도 2호선 트램 착공식에 참석해 안전한 건설을 다짐하고 있다. 대전시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대전시가 최근 도시철도 2호선 트램의 시스템엔지니어링(SE) 용역사로 리나컨소시엄을 선정했다. 그러나 이 컨소시엄 참여업체들이 용역 발주에 앞서 열린 대전시의 SE 사전 정보공유 회의에 참석한 것으로 드러나 “시험문제 출제자가 시험을 보고 1등까지 한 꼴”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또 이 컨소시엄에 대전교통공사가 지역 기업 자격으로 참여해 가점을 받은 것으로 드러나 공정성 논란도 커지고 있다. 대전교통공사는 대전시가 전액 출자한 지방 공기업이자 협의 당사자다.
25일 대전시 도시철도건설국은 “지난 16일께 도시철도 2호선 트램의 SE업체로 리나컨소시엄을 선정했다”며 “리나컨소시엄은 SE용역 사업수행능력 평가를 거쳐 적격자로 평가받았다. 용역 예산은 110억원”이라고 밝혔다. 트램 SE 용역은 트램의 상업운전에 앞서 설계 등 요구사항, 성능, 신뢰성·가용성·유지보수성, 안정성, 시험·시운전, 운영 소프트웨어 등 11개 부문을 진단·분석해 트램의 안전한 운영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 용역은 리나컨소시엄, 지이티(GET)컨소시엄, 더블유에스피(WSP)컨소시엄 등 3곳이 입찰했으며 리나사와 ㅅ엔지니어링, 대전교통공사로 꾸려진 리나컨소시엄이 대상업체로 결정됐다. 리나는 이탈리아, GET는 국내, WSP는 캐나다 업체다.
업계와 시민단체는 리나컨소시엄을 꾸린 업체들이 지난해 12월15일 대전시청 7층 철도광역본부 회의실에서 열린 SE 관련 회의에 참석했고, 이 컨소시엄에 참여한 대전교통공사는 대전시가 전액 출자한 지방 공기업이자 협의 당사자인데도 지역 기업으로 참여해 가산점까지 받았다며 입찰 공정성에 의혹을 제기했다. 서류심사에서 SE용역 실적이 우수한 WSP컨소시엄이 탈락한 점도 의혹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시 도시철도건설국은 “SE관련 회의는 안전한 도시철도를 건설하고 운영하기 위해 2020년부터 여러차례 열었으며 특정업체에 특혜를 주는 식으로 공정성을 해치는 평가를 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용역을 주관한 시 트램시스템과 관계자는 “SE용역을 수행하는 업체는 국내에 18곳이 있고 특급 엔지니어도 10여명에 불과한데 전국의 현장이 20곳에 달해 대전 트램 용역을 맡을 곳이 마땅치 않아 해외기업도 참여하도록 입찰 조건을 바꿨다”며 “대전교통공사는 지방 공기업이지만 법인 설립 목적에 ‘영리 추구를 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지역에서 입찰할 수 있는 자격은 한국원자력연구원과 교통공사뿐이어서 민간기업의 피해는 없다”고 주장했다.
대전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성명을 내어 “SE용역 발주에 앞서 정보 공유회의에 참석한 업체들이 꾸린 컨소시엄이 낙찰받은 것은 용역 절차상 하자다. 서류심사에서 전체 SE용역 수준 실적만 인정하고 부문별 참여는 불인정한다는 원칙도 지켜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광진 이 단체 기획위원장은 “트램의 협의 당사자인 지방 공기업이 이 컨소시엄에 지역 업체로 참여해 가산점을 받은 것은 잘못이다. 운전 부문 때문에 교통공사의 참여가 불가피 했다면 이 부문만 수의 계약하고 나머지 부문을 경쟁입찰했어야 했다”고 비판했다.
대전도시철도 2호선 트램 디자인 시안. 대전시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편 대전도시철도 2호선 트램은 대전 5개 자치구를 통과하는 총연장 38.8㎞, 정거장 45곳, 차량기지 1곳을 갖춘 순환선으로 2028년말 개통할 예정이다. 총사업비는 1조5069억원이다. 대전도시철도 2호선은 1996년 정부의 기본계획 승인 뒤 건설 방식, 동력전달 체계 등을 놓고 논란을 빚다 수소트램으로 확정하고 승인받은 지 28년 만인 지난 11일 착공했다. 시는 지연된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지역업체 참여를 늘리기 위해 대전도시철도 2호선 공사구간을 15개로 분할했으며, 3년6개월여 공사한 뒤 6개월간 시운전을 거쳐 상업운전을 할 방침이다.
수소트램 차량은 현대로템이 제작을 맡았다. 대전시와 현대로템은 지난 8월 차량제작 착수보고회에서 수소트램은 1회 충전으로 200㎞ 이상 주행이 가능해 도심에 전력 공급선 설치가 필요 없다고 공개했다. 또 수소로 전기를 만드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등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아 대기질 개선 효과도 클 것이라고 밝혔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실시간 뉴스, ‘한겨레 텔레그램 뉴스봇’과 함께!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