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일 비상계엄 사태 당시 발생한 네이버 접속 장애는 평상시 최고치 대비 14배 수준으로 증가한 트래픽을 감당하지 못한 데 따른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이정헌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개한 '비상계엄 당시 주요 포털사이트 서비스 장애 현황' 자료에 따르면, 네이버 뉴스의 트래픽은 평시 대비 1320% 폭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네이버 카페의 트래픽 역시 450% 급증했다.
이날 네이버 뉴스는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후 7분 뒤인 오후 10시 35분부터 뉴스 댓글 작성 기능에 장애를 빚기 시작했다. 이후 10시 54분부터는 네이버 카페 장애로 확산됐고, 11시 22분부터는 다음 카페도 접속이 지연됐다. 이들 서비스 장애는 다음날인 4일 오전 1시 16분이 돼서야 정상화됐다.
계엄 선포 직후 네이버와 다음의 일부 기능이 장애를 빚자 일각에서는 이 같은 현상이 비상계엄 계획의 일부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다만 당시 접속 지연 사태는 순식간에 폭증한 트래픽 때문에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갑작스런 장애에 네이버는 전면 장애를 막기 위해 댓글 작성과 공감 기능을 중단하는 '셧다운'을 시행했고, 카페 게시글 작성도 막았다. 네이버 측은 서비스 일부 기능의 부하가 전체 데이터베이스로 전이되는 상황이었고, 이를 막기 위해서는 일단 해당 기능을 중단한 뒤 데이터베이스 부하 해소를 통해 서비스를 복구할 수밖에 없었다고 밝혔다.
카카오의 경우 긴급 서버와 인력을 투입해 접속 지연을 해소했다. 다만 카카오는 "순간적인 트래픽 증가에 따른 지연이 발생했다"고만 언급했을 뿐 당시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자료는 제출하지 않았다. 트래픽이 언제, 얼마나, 왜 증가했는지에 대해서도 "기업의 경영·보안상 기밀로 공개가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정헌 의원은 "우리 사회의 공론장으로서 기능하는 국내 포털이 계엄으로 일시 정지된 중대한 사안"이라며 "주무 부처인 과기정통부와 관련 포털 기업은 책임 있고 투명한 설명으로 국민 불안을 해소할 책무가 있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그러면서 "카카오는 국회의 자료 제출 요구에 불성실하게 응하고 있다"며 "과기정통부는 대응체계를 가동했음에도 포털 장애를 막지 못한 것과 관련해 확고한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적했다.
아주경제=윤선훈 기자 chakrell@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