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원·달러 환율이 15년 만에 1450원을 넘어서면서 물가 상승 우려가 커지고 있다. 고환율은 수입물가를 높여,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물가수준을 높이기 때문이다. 먹거리 물가가 여전히 높은 가운데, 내년에도 국내 식품·외식가격 인상이 지속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22일 외환시장에 따르면 지난 20일 기준 원·달러 환율은 전주 대비 18.40원 오른 1451.40원(오후 3시30분기준)을 기록했다. 1450원을 넘어선 것은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5년 만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트럼프 정책 속도 따라 '환율' 고공행진
문제는 원·달러 환율이 더 오를 수 있다는 점이다.
원·달러 환율은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고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인하하며, 내년 금리 인하 횟수를 당초 4회에서 2회로 전망한 영향이 컸다. '매차적 금리인하(통화긴축 선호)'란 분석이 나왔다. 금리인하 횟수를 줄인다는 것은 금리인하 속도가 늦춰져 여전히 달러 가치가 높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내년 1월 취임하는 도널드 트럼프 정부 역시 달러 강세를 부추길 수 있다.
앞서 트럼프는 중국산 제품에는 60% 관세를 부과한다고 공약했다가, 이후 10% 관세를 추가할 것이라고 공언한 바 있다. 트럼프 1기시절 중국에 관세가 25% 부과되면 위안화가 10% 절하됐다. 중국 관세에 따라 우리나라의 원화도 동조할 가능성이 크다.
백석현 신한은행 연구원은 "트럼프 1기 정부때도 미·중 간 무역분쟁에 원·달러 환율이 상당히 민감하게 반응했다"고 말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식자재 수입에 의존 韓…물가상승 불가피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먹거리 물가도 지속적으로 상승할 전망이다.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식자재를 수입하고 있다. 환율이 오르면 수입가격이 오르는데, 3~6개월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지난 11월 기준 국내 공급자물가지수는 2020년(=100)을 기준으로 할 때 124.15로 집계됐다. 한달 전(123.47)과 비교해 0.6% 오른 수준이다. 공급자물가지수는 생산자물가와 수입물가를 결합해 산출한다.
이문희 한국은행 물가통계팀장은 "통관 시점 기준 수입물가가 원·달러 환율과 국제 유가가 상승해 생산자물가보다 큰 폭으로 올랐다"며 "환율 상승 영향은 원화 기준 수입물가에 반영돼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도 반영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소비자물가지수는 114.40으로 1년 전과 비교해 1.5% 올랐다.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지난 ▲8월 2%에서 ▲9월 1.6% ▲10월 1.3% ▲11월 1.5%로 1%대를 유지하고 있다.
내년 1월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1500원대로 오르면 소비자물가상승률은 2%대를 넘어설 수 있다는 분석이다.
농촌경제연구원은 "생산원가에서 원재료가 차지하는 60~70%인 식품산업과 20~40%를 차지하는 외식산업에서 물가 인상의 압력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며 "고환율로 인한 수입 재료 가격 상승은 생산 비용 증가로 이어져 가공식품과 외식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