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핫딜]건설현장 자율주행 로봇 '고레로보틱스', 57억 프리A 투자유치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고레로보틱스가 개발 중인 자율주행 건설로봇 /사진=고레로보틱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식당에서 서빙로봇이 음식을 실어 나르는 장면은 이젠 익숙한 광경이 됐다. 이 같은 자율주행 로봇 기술의 진보가 이제는 건설 현장으로 확장되고 있다. 무거운 자재를 들어 올리고 정확한 위치에 운반하는 로봇이 인간의 노동을 대신하며 생산성을 높인다.
건설 현장을 혁신하는 자율주행 로봇(AMR) 개발 기업으로는 '고레로보틱스'의 행보가 눈에 띈다. 지난해 8월 설립된 신생 스타트업이지만 건설 분야 자율주행 로봇과 관련해선 현재 국내 유일한 기업이다.
고레로보틱스는 포스코그룹의 사내벤처로 출발했다. 척박한 건설 현장에서 이동할 수 있는 건축 도면 기반 자율주행 능력을 핵심 기술로 보유했다. 건설 현장에서 자율주행 로봇으로 자재를 운반해 공사기간 단축과 원가절감 등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고레로보틱스가 지난 10월 인천의 한 공동주택 건설 현장에서 진행한 PoC(기술실증)에서 강마루 자재를 실은 자율주행 로봇은 스스로 엘리베이터를 타고 지상 6층에 자재를 하차한 뒤 복귀하는 역할 수행에 성공했다.
고레로보틱스의 자율주행 로봇은 강마루·타일·욕실용 도기 등과 같은 마감재를 효율적으로 운반하도록 설계됐다. 공동주택 내부 엘리베이터 시공까지 마무리된 현장에서 야간에 자율적으로 운반 작업을 수행해 인력 의존도를 줄이고 건설 일정의 최적화를 돕는다.
━
포스코 역사상 최연소 공무팀장 출신의 CEO
━
/사진=고레로보틱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고레로보틱스는 기술력과 함께 시장성을 인정받으며 정부의 스타트업 지원 사업인 초격차 1000+, 딥테크·글로벌 팁스(TIPS)에 선정돼 최대 27억원의 R&D(연구개발) 자금을 확보했다.
자본시장의 관심도 집중됐다. 지난해 9월 미국 실리콘밸리의 VC(벤처캐피탈) 등에서 12억원의 시드투자를 받았고, 최근에는 프리시리즈A 라운드에서 57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투자에는 SBVA, IBK기업은행, 프라이머사제, 김기사랩 등이 참여했다.
투자사들은 이동민 고레로보틱스 대표의 현장 경험에서 비롯된 시장 진입 능력을 높게 평가했다. 박영진 SBVA 이사는 "건설 산업은 매우 보수적인 영역이라 새로운 기술을 받아들이는 데 있어서 진입장벽이 높지만 이동민 대표는 이것을 뚫을 수 있는 능력이 있었다"고 했다.
실제로 이동민 대표는 포스코이앤씨에서 10년간 근무하며 풍부한 건설 현장 경험을 쌓았다. 만 31세에 포스코 역사상 최연소 공무팀장을 맡았던 인물이다. 공무는 건설 현장의 기획, 원가, 계약, 인허가, 민원 등 대내외 관리업무를 총괄하는 역할을 뜻한다.
박영진 이사는 "고레로보틱스가 포스코 측과 6개의 건설 현장에 대한 계약 논의를 진행했고 2개는 체결한 상태였다. 이 대표가 포스코 현장부터 하나씩 뚫어가는 모습을 보며 자율주행 로봇이 상용화 단계로 가고 있다는 확신을 주었다"고 말했다.
━
건설근로자 인력난 극심 예상되는 美 진출 본격화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고레로보틱스가 타깃하는 '양중'(장비를 통해 건설 자재를 수직으로 옮기는 작업) 시장은 국내에서만 2조원 규모로 추산된다. 기술적 수요는 있으나 실제 도입이 이뤄지는 것은 이제 시작 단계인 만큼 시장 규모는 계속 확장될 것이란 전망이다.
고레로보틱스는 미국 진출도 본격화할 계획이다. 곧 출범할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자 정책으로 미국 내 건설근로자의 인력난이 극심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이를 해소하기 위한 로봇 자동화·무인화 솔루션을 건설사에 제공한다는 목표다.
정나영 SBVA 책임은 "건설 현장에 다양한 혁신 기술들이 도입되고 있지만 양중이라는 특수한 영역에 접근하는 기업은 많지 않다. 한국에서는 고레로보틱스가 유일하다"며 "미국 사업까지 고려하면 타깃 시장 규모가 결코 작지 않다"고 분석했다.
물류 등 다른 산업에서 자율주행 로봇을 개발하는 기업이 건설 분야로 진입할 가능성은 고레로보틱스의 도전 요인으로 꼽힌다. 하지만 건설 현장에 대한 높은 이해도와 로봇 최적화를 통해 상용화한 역량을 고려하면 고레로보틱스의 경쟁력이 가장 높다는게 투자사의 판단이다.
정 책임은 "고레로보틱스는 더 많은 현장을 경험하면서 로봇을 고도화해 나가야 하는 기술적 마일스톤이 있다"며 "건설 현장에서 고레로보틱스가 기술적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게 되면 다른 혁신 기술들도 고레로보틱스를 통해 유통될 수 있다. 이 같은 확장성도 중요하다"고 했다.
이동민 대표는 "이번 투자유치를 바탕으로 자율 양중 로봇을 고도화하고 시공 데이터와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해 시공 전반을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서비스까지 영역을 확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최태범 기자 bum_t@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