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간·해양 '전파 음영지역' 촬영 실시간 분석해 인명수색
객체 사람인지 판단하는 AI 기술…"상시 활용 주파수 할당 절실"
17일 오후 서울 관악구 소재 목골산 둘레길에서 범죄예방 목적의 경찰의 드론 비행 순찰이 최초 시행되고 있다 2024.6.17/뉴스1 ⓒ News1 박정호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윤주영 기자 = 이음 5세대 이동통신(5G) 주파수는 고대역이라 실시간 영상처리 등 대용량 통신에 유리하지만, 주파수 회절성이 낮아 커버리지가 떨어지는 게 문제였다.
이동 기지국을 구축해 한계를 극복하고, 특수 목적 통신 등에 주파수를 활용하는 방안 연구가 속도를 내는 배경이다. 최근 우주항공청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함께 시연한 '이음5G 기반 DNA+드론 플랫폼 기술'이 대표적이다.
16일 ETRI에 따르면 '이음5G 기반 DNA+드론 플랫폼 기술'은 약 20대 드론을 군집 운용해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 AI로 분석하는 방식이다.
통상 산악·해양 등 지역은 지상 기지국과 통신이 닿지 않아 드론 데이터를 획득·전달·분석하는 데 긴 시간이 걸린다. 신속한 인명 수색이 어려웠던 이유다.
ETRI는 차량에 이동 기지국을 실어 수색지역 인근서 국지적 통신망을 구축하는 방향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영상 송수신에는 이음5G 대역 중 4.7㎓를 썼는데, 4K 영상 속 객체를 실시간 분석하기엔 무리가 없다는 설명이다.
실종자를 빠르게 특정할 수 있도록 '지상 소형 객체 탐지 분석' 등 AI 기술도 적용했다. 다양한 각도에서 찍힌 영상을 학습한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이 객체가 사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연구 책임자인 임채덕 ETRI 디지털융합연구소 에어모빌리티연구본부장은 "이 밖에도 드론 표준 데이터, 4D 지상관제 플랫폼 등 지상 관제·분석을 도울 수 있는 기술이 접목됐다"고 설명했다.
드론 표준 데이터는 드론 위치정보, 짐벌(카메라 고정 구조물) 등 자세 정보를 종합해 표준화한 데이터다. 영상물이 어디서 어떻게 찍혔는지 알 수 있어 관제 화면에 맵핑하는 데 도움이 된다.
4D 지상관제 플랫폼은 GPS, 고도 등 3차원 정보뿐 아니라 시간별 드론의 위치 변화를 추가해 분석하는 기술이다. 관제 플랫폼에서 군집 드론의 궤적을 재현할 수 있어 임무 데이터 사후 분석을 돕는다.
임 본부장은 "ETRI 대전 본원과 인근 산간 등에 마네킹을 두고 기술을 실증했는데, 충분한 식별 성능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상용화 준비는 마쳤으나 기술이 폭넓게 확산하려면 이동 기지국 플랫폼을 위한 주파수 할당이 절실하다. 임 본부장에 따르면 현재 이음5G 4.7㎓ 대역은 정부가 허가한 지역 내에서만 쓸 수 있어 다양한 임무에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임무 사전에 혼선·간섭 문제가 없는지만 확인되면 해당 주파수를 여러 곳에서 쓸 수 있게 하는 유연한 체계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lego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