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韓, 오늘 대표 사퇴 밝힐 듯
그래픽=양진경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민의힘 선출직 최고위원 5명 전원이 윤석열 대통령 국회 탄핵소추안 가결 직후 사퇴하면서 ‘한동훈 국민의힘 지도부’가 출범 5개월 만에 무너졌다. 한 대표가 지난해 12월 말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취임한 이후 1년 동안 끊이지 않은 이른바 ‘윤·한 갈등’이 윤 대통령의 탄핵소추와 함께 한 대표 실각이란 결과로 끝난 것이다. 한 대표는 16일 오전으로 예고한 기자회견에서 사퇴 의사를 밝힐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는 지난 14일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되자 곧바로 의원총회를 소집했다. 원내 다수파인 친윤계 의원들을 중심으로 ‘탄핵 찬성’ 당론 채택을 주장한 한 대표를 향한 사퇴 요구와 찬성표를 던진 의원들을 겨냥한 비판이 쏟아졌다. 앞서 국민의힘 의원들은 이날 탄핵안 표결 직전 의원총회에서 지난 7일 1차 탄핵소추안 표결 때처럼 ‘탄핵 반대’ 당론을 계속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그런데 한 대표가 2차 표결을 앞두고 ‘탄핵 찬성’으로 당론을 변경하자고 주장하고, 실제 표결에서 국민의힘 이탈표가 최소 23명(찬성 12, 기권 3, 무효 8) 나온 것으로 분석되면서 친윤계가 대대적인 공세에 나선 것이다.
의원총회 도중 회의장을 찾은 한 대표는 사퇴할 생각이 없다는 뜻을 밝혔다. 이 과정에서 한 대표가 친윤계 의원들을 향해 “비상계엄을 내가 내렸느냐, 탄핵소추안 찬성 투표를 내가 했느냐”는 취지로 말하자, 일부 의원은 한 대표 사퇴를 요구하며 설전을 벌인 것으로 전해졌다. 일부 친윤계 의원은 한 대표를 향해 “당장 당을 나가라” “저거 미쳤네” “당신이 당에 올 때부터 분열이 시작됐다”며 소리를 질렀다고 한다. 의원총회에서 이른바 ‘친한계’로 분류된 의원 대다수는 침묵한 것으로 알려졌다.
격앙된 분위기 속에 한 대표가 발언을 끝내고 회의장을 나가자 친한계 핵심으로 꼽혀온 장동혁 최고위원이 당직 사퇴 의사를 밝혔고, 이후 친윤계인 인요한·김민전 최고위원, 친한계 진종오 청년 최고위원이 사퇴 선언에 동참했다. 원외(院外)인 친윤계 김재원 최고위원도 페이스북에서 사퇴 의사를 밝히면서 지난 7·23 전당대회에서 선출된 ‘한동훈 지도부’는 붕괴했다. 국민의힘 당헌(黨憲)에 따르면 선출직 최고위원 5명 중 4명 이상이 사퇴하면 최고위원회는 자동으로 해산되고 비상대책위원회가 들어서게 된다.
의원총회장을 나온 한 대표는 기자들에게 당대표직을 유지하겠다는 뜻을 거듭 밝혔다. 하지만 당헌에 따라 비대위 출범이 불가피해지면서 한 대표는 측근들과 거취 문제를 협의했고 사퇴로 마음을 굳힌 것으로 알려졌다. 한 대표가 물러나면 당대표 권한대행을 겸하는 권성동 원내대표가 비상대책위원장 임명권을 갖게 된다. 비대위원장 후보군으로는 5선의 권영세·나경원 의원,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 김황식 전 국무총리 등이 거론된다.
여권 관계자는 “한 대표는 한때 윤 대통령의 최측근이자 정치적 후계자였는데, 지난해 12월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을 맡은 이후 갈등의 골이 돌이킬 수 없는 수준으로 깊어졌다”고 했다. 한 대표는 윤 대통령의 궤도 이탈을 막는 견제자 역할을 자임했지만 결과적으로 둘의 관계가 악화일로로 치달으면서 파국을 맞았다는 것이다.
그래픽=양진경 |
윤·한 갈등은 한 대표가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을 맡은 이후 지속됐다. 지난 1월 한 대표 측근인 김경율 당시 비상대책위원이 김건희 여사를 프랑스 혁명을 촉발한 당시 왕비 마리 앙투아네트에게 빗댔고, 한 대표는 김 여사 디올백 수수와 관련해 “국민 눈높이에서 생각할 문제”라고 했다. 그러자 윤 대통령은 사실상 한 대표 사퇴를 요구했지만, 한 대표는 이를 거부하며 충돌했다. 이후에도 한 대표가 4·10 총선을 3주 앞두고 ‘해병대원 사건 외압 의혹’ 핵심 인물인 이종섭 전 국방장관의 호주 대사 부임에 제동을 걸면서 윤·한 갈등은 더욱 악화했다. 한 대표는 총선 이튿날 패배 책임을 지고 물러났지만 지난 7월 전당대회에서 당대표로 선출된 뒤 줄곧 ‘국민 눈높이’를 강조하면서 윤 대통령을 향해 변화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내왔다. 한 대표는 ‘김경수 전 경남지사 복권 반대’ ‘2026학년도 의대 증원 유예’ ‘김 여사 리스크 해소’ 등을 요구했고, 대통령실과 친윤계에선 “한 대표가 윤 대통령과 본격적인 차별화에 나섰다”는 불만이 나왔다.
윤·한 관계는 12·3 비상계엄 사태를 계기로 파국을 맞았다. 한 대표는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직후 “위헌·위법한 계엄”이라며 국민의힘 의원들의 국회 계엄 해제 요구 표결 참여를 독려했다. 이어 지난 12일 탄핵 찬성 입장을 밝히고, 대통령 출당(黜黨)을 추진했다. 친윤계는 한 대표의 이런 언행을 ‘배신의 정치’라고 비판했고, 14일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가결되자 한 대표를 향한 사퇴 압박 수위를 높였다. 결국 친한계를 포함한 선출직 최고위원 전원 사퇴로 ‘한동훈 지도부’는 와해됐다.
[김승재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