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3 (금)

내수 방어 위한 2회 연속 금리 인하…‘내란’으로 물거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소비는 더 얼어붙고…달러 환율도 1400원대서 고공행진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외환당국 개입, 상방 방어에도 하락 기미 없어 수입물가 부담 지속
금리 추가 인하 땐 환율 밀어올릴라 ‘딜레마’…스텝 꼬인 통화정책
전문가들 “정치 불확실성 해소와 함께 민생 회복 재정지원 시급”

12·3 비상계엄 사태의 여파가 통화정책 운용에도 미치고 있다. 한국은행이 환율 상승 가능성을 감수하고 추락하는 내수 방어를 위해 지난달 2회 연속 기준금리 인하를 결정했지만, 계엄 이후 환율이 치솟으면서 달러당 1400원대에서 내려올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내수는 더 얼어붙고 있지만 달러 강세가 지속되면서 통화정책도 꼬이게 됐다. 전문가들은 민생 회복을 위한 재정 확대가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12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0.3원 내린 달러당 1431.9원에 주간거래를 마쳤다. 외환당국의 적극적인 시장 개입으로 1440원선 진입은 방어하고 있지만, 계엄 이후 치솟은 환율은 1300원대로 내려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고환율은 중간재·원자재 가격과 수입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소비 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한 자본시장 전문가는 “환율이 1300원대 후반인 상황에서 단행한 금리 인하가 결국 1450원을 위협하는 환율 상승의 모멘텀을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한은의 금리 인하는 재정정책이 사실상 부재한 상황에서 경기 방어를 위해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는 평가도 나온다. 류덕현 중앙대 교수는 “정부가 긴축적 재정정책을 하다보니 한은이 금리를 내리기만을 바라보고 있었던 것”이라고 했다. 실제로 당시 정부·여당에선 한은의 금리 인하를 노골적으로 요구하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향후 금리가 더 내려갈 것이라는 시장의 전망은 커지고 있다. 가뜩이나 부진한 내수심리가 더 악화된 데다, 국정 혼란으로 재정기조 전환을 추진하기도 쉽지 않다보니 통화정책에 대한 의존도가 더 높아지게 됐다는 것이다.

실제로 국고채 금리는 추가 기준금리 인하 전망을 반영하며 계엄 사태 이후에도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 11일 국고채 3년물 금리는 2.536%, 10년물 금리는 2.692%로 지난달 초보다 하락했다.

문제는 한은이 금리를 더 인하하기에는 여건이 더 나빠졌다는 점이다. 하나증권은 이날 보고서에서 내년 1분기 평균환율을 달러당 1430원으로 내다봤다. 환율 수준과 변동성 모두 높아 금리 인하를 단행하기는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시장에선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오는 19일(한국시간) 열리는 올해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할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연준이 금리를 내리면 한·미 간 금리 차이가 좁혀져 환율 상승을 일단 제약할 순 있지만, 문제는 앞으로다. 미국 내 물가 둔화 기조가 약해지면서 연준이 내년 금리 인하 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추가 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금리 인하 속도 조절론이 강하게 부각된다면, 원·달러 환율의 추가 상승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정치 불확실성 완화와 함께 민생을 위한 재정 투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류 교수는 “소상공인을 지원하는 등 민생 경제 회복이 제일 중요하다”며 “복잡한 정국이지만 추경을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취약 계층에 대한 안전판을 마련하면서 시간을 벌어줄 수 있는 정책들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경민 기자 kimkim@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해제, 탄핵 순간 사라진 국회의원은 누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