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출생아 증가 이유로 코로나19로 미뤘던 혼인이 늘고, 정부 지원 효과와 출산·혼인에 대한 긍정적 인식 변화를 들었다. 하지만 특정 시기에 혼인이 몰린 것은 일시적 요인이다. 그만큼 출산 증가를 이어가려면 정교한 정부 대책이 절실하다. 과거 출산 장려책들이 효과 검증도 없이 예산 퍼주기만 하다가 끝난 경험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지난해 저출생 대응 예산은 47조원이나 됐는데, 이 중 절반 정도만 직접적인 과제에 쓰였다.
최근 통계청이 조사한 저출생 해법으로 주거·취업 지원, 일·가정 양립 직장문화 등이 꼽혔는데 정부는 이에 맞춰 추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젊은 층에 대한 주택, 일자리 지원 방안과 함께 육아휴직제나 유연근무 확대 등으로 일·가정 양립을 도모해야 한다.
특히 저출생·고령화 등 인구 문제를 총괄할 '인구전략기획부' 설치를 서둘러야 한다. 지난 7월 인구부 설치를 위한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발의됐지만 국회 처리가 지연되고 있는데, 조속한 통과가 필요하다.
정부는 출생아·출산율 증가가 확실한 대세로 굳어질 수 있도록 비상한 각오로 총력전을 펴기 바란다. 저출생이 가져올 경제 규모 축소 등 부작용을 감안하면 하루가 급하다. 과감한 출산·보육 지원책들을 발굴해 2030년 합계출산율 1.0명이라는 정부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