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전남대학교 인문대학 앞에서 ‘전대신문’ 동우회와 학생기자단이 최근 불거진 학보사 ‘전대신문’ 제작 중단 사태를 비판하는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전대신문 동우회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기사 마감 시간을 지키지 않았다는 이유로 제작 중단 사태를 빚은 전남대학교 학보사 ‘전대신문’ 갈등에 동문도 가세하며 지역사회 현안으로 떠오르는 모양새다.
‘전대신문’ 전직 기자들이 구성한 동우회는 26일 전남대학교 인문대 앞에서 ‘전대신문 발행을 즉시 재개하라’는 제목의 성명을 발표했다. 성명에는 20대부터 50대까지 전대신문을 거쳐 간 광주·전남지역 언론인, 법조인, 기업인, 정치인, 교수, 시민단체 활동가 등 104명이 이름을 올렸다.
이들은 최근 ‘전대신문’이 1668호 제작을 중단한 상황에 대해 “창간 70년 이래 처음 있는 일”이라며 독자의 신뢰를 저버린 행위라고 비판했다. 발행인(총장)과 주간교수, 편집위원은 취재·보도의 자율성을 명시적으로 보장하고 재발 방지책을 제시하라고 촉구했다.
동문은 최근 주간교수, 편집위원이 전대신문 학생기자들에게 마감시간 원칙 준수를 강요하며 대학 민주주의가 훼손된 것으로 봤다.
1954년 창간한 전대신문은 학기 중 2~3주 간격으로 16~24면 신문을 발행하며 학생 기자들이 학업과 취재 활동을 병행하는 상황을 고려해 기사 마감시간을 따로 정해놓지 않고 금요일 제작, 월요일 배포 방식으로 운영해왔다.
하지만 올해 9월부터 주간교수, 편집위원은 신문제작 외주업체 직원의 노동권 보호 등을 이유로 ‘금요일 오후 6시 제작 마감’ 원칙을 제시했다. 이에 학생기자들은 시의성이나 사안의 중요도에 따라 기사가 변경되거나 추가되는 경우가 있고 금요일도 취재 일정이 있을 수 있다며 동의하지 않았다.
지난달 7일 발행한 전대신문 1667호 지면. 전대신문 누리집 갈무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갈등은 1668호 제작을 논의하던 이달 7일 불거졌다. 신문 제작날인 15일 저녁 7시에는 4년 만에 경선으로 치러지는 총학생회 선거 후보자 토론회가 있었다. 학생기자들은 1668호를 선거 특집호로 만들어 토론회 내용을 지면에 싣자고 요구했지만 주간교수와 편집위원은 온라인 기사로만 처리하자고 했다.
15일 오후 6시 기사 마감이 이뤄지지 않자 편집위원은 제작업체와 인쇄소에 신문 제작 중단을 통보하고 자리를 떴다.
학생 기자들은 주간교수와 편집위원의 원칙 강요는 편집권 침해라며 반발했다. 대학 신문은 학내 구성원의 알 권리를 위한 것으로, 편집국 기자들은 주간교수·편집위원이 통제할 대상이 아니라는 것이다.
학생 기자 일동은 22일 대학 내 대자보 부착에 이어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무조건 오후 6시까지 신문 편집 작업을 종료하라는 일방적 강요를 비롯한 편집권 침해 행위를 즉각 중단하라”며 “편집권 침해, 언론 자율성 침해 등의 문제가 재발하지 않도록 대학 차원의 대책을 마련하고 신문방송사 사칙을 개정해 대학 언론의 ‘실질적 자유’를 보장하라”고 촉구했다.
김아무개 편집위원은 “그동안 마감시간이 정해지지 않아 제작이 밤 11시를 넘긴 경우도 있었다”며 “‘운영에 필요한 세칙은 따로 정할 수 있다’는 전남대 신문방송사 규정을 근거로 외주업체 직원의 정규 근로 시간을 기준 삼아 마감 시간을 정하고 필요한 경우 학생들과 조율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김씨는 “담당 교수랑 입장을 정리한 뒤 발행 재개를 위해 학생들과 협의를 이어갈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
▶▶세상의 모든 책방, 한겨레에서 만나자 [세모책]
▶▶핫뉴스, ‘한겨레 텔레그램 뉴스봇’과 함께!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