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6 (화)

한국인, 43세에 흑자 1753만원 정점…61세부터 다시 적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인은 평균적으로 28세부터 노동소득이 소비보다 많은 ‘흑자 인생’에 진입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43세에 흑자 정점을 찍고, 61세부터 적자 주기로 재진입한다. 통계청은 2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2년 국민이전계정’을 발표했다. 연령변화에 따라 소비와 노동소득의 관계를 파악하는 통계다.

중앙일보

자료: 통계청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인당 생애주기로 살펴보면 나이가 들면서 ‘적자→흑자→적자’ 구조를 띤다. 소득이 없거나 적은 0∼27세까지 적자였다가, 28세에 흑자로 진입한다. 노동소득이 뒷받침되는 60살까지 흑자를 유지하다가 61세에 다시 적자로 전환한다.

구체적으로 1인당 노동소득은 17세 이후 점차 증가해 43세에 4290만원으로 정점을 찍는다. 이에 1인당 생애주기적자는 17살에 4078만원으로 최대 적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흑자 폭이 가장 큰 나이는 43살로 1753만원이다. 2021년에는 17살에 3757만5천원 최대 적자, 46살 때 1823만원 최대 흑자였는데 1년 전보다 적자 폭은 늘고 흑자 폭은 줄었다.

2010년 이후로 살펴보면 흑자 진입 연령은 27∼28세로 일정하다. 그러나 적자 재진입 연령은 56세(2010년)에서 61세(2022년)로 점차 늦춰지고 있다. 은퇴가 늦어지고 은퇴 후에도 계속 일을 하는 노년층이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생애주기별로 발생한 적자는 가구 내 이전, 정부의 공공이전 등을 통해 메워진다. 흑자 발생 연령에서 적자 연령대로 유입되는 구조다.

국자 전체로 보면 2022년 기준 한국 국민의 총소비는 전년보다 9.9% 증가한 1364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공공소비가 전년보다 8.4% 늘고, 민간소비는 10.6% 증가했다. 공공소비 가운데서는 공공보건소비(8.6%)가, 민간소비에서는 민간교육소비(12.2%)가 증가율이 높았다.

노동소득은 1년 전보다 6.3% 증가한 1168조7000억원이다. 이에 소비에서 노동소득을 차감한 생애주기 적자는 직전 해보다 53조7000억원 증가한 195조4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소비가 노동소득보다 가파르게 늘면서 적자 규모가 늘었다.

세종=김민중 기자 kim.minjoong1@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