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그것밖에 답 없다" 日사례 보는 석유화학…벼랑 끝 자구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LG화학 대산공장. 사진 LG화학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내 석유화학 산업이 중국발 공급 과잉에 실적 부진이 장기화하며 좀체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업계에서도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는 공감대가 확산하는 가운데 정부가 다음 달 초 내놓을 ‘석유화학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에 관심이 모인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석유화학 산업은 주요 수출 시장이던 중국의 변심에 수익성 악화에 시달리고 있다. 중국 경기침체로 수요가 부진할 뿐 아니라 중국 내 자급률이 올라가면서 향후 경기가 살아나도 상황이 달라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국내 ‘빅4’ 가운데 롯데케미칼은 올 3분기 영업손실이 4136억원에 달했다. LG화학 석유화학부문과 한화솔루션 케미칼부문은 각각 382억원, 31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금호석유화학만 유일하게 흑자(영업이익 651억원)를 냈지만, 전년 동기 대비 22.7% 감소했다.

국내 석유화학 업계는 2020년 이후 중국의 대규모 나프타분해설비(NCC) 증설로 직격탄을 맞았다. ‘산업의 쌀’로 불리는 에틸렌 생산능력은 2020~2024년 전 세계에서 4500만톤(t) 늘어났는데, 이 중 중국이 55.6%(2500만t)를 차지했다. 여기에 중동까지 석유화학 분야 투자를 확대하고 있어 범용 제품에서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졌다. 에틸렌 생산능력은 중국과 중동을 중심으로 2026~2028년 약 4000만t이 늘어날 전망이다. 국내에서도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 기업 아람코와 자회사인 에쓰오일이 ‘샤힌프로젝트’로 2026년 울산에서 연간 에틸렌 180만t을 추가로 생산할 계획이다.

현재는 공장을 돌릴수록 손해를 보는 상황이다. 수익성 지표인 에틸렌 스프레드(에틸렌 가격에서 원료인 나프타 가격을 뺀 금액)는 2022년 이후 손익분기점인 t당 300달러를 밑돌고 있고, 올 3분기에는 t당 186.47달러에 그쳤다. 국내 NCC 가동률은 2021년 93%에서 지난해 74%로 하락했다.

중앙일보

이훈기 롯데케미칼 사장이 지난 4월 전남 여수시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장을 방문해 컨트롤룸에서 공장 가동 현황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 롯데케미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 사업재편 위한 인센티브 논의



상황이 악화하자 정부는 석유화학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안을 준비 중이다. 범용 제품에서 부가가치가 높은 스페셜티 위주로 사업재편을 유도하고, 이를 위해 세제·금융 인센티브를 주겠다는 것이다. 국내 업체들은 스페셜티로 사업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속도가 나지 않고 있다. 2022년부터 스페셜티 확대에 드라이브를 건 롯데케미칼의 경우 아직 범용 제품 매출 비중이 60%대로 높은 편이다. 생산 라인을 단기간에 바꾸기 어렵고, 시장 수요도 쪼그라들어서다.

정부는 기업 간 인수합병(M&A)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하고, 세제 혜택을 주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업재편 추진 시 저리의 정책금융 제공, 연구개발(R&D) 지원 등도 추진할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비주력 사업을 매각할 수 있도록 세제 지원을 강화해달라고 건의하고 있다”며 “R&D 세제 지원도 스페셜티 전환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규모가 큰 NCC의 경우 국내에서 매수자를 찾기 힘들다”며 “정부가 파격적인 지원책을 내놓지 않는 이상 과거와 같은 국내 기업 간 ‘빅딜’은 힘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스페셜티 강화한 독일·일본 참고



정부는 일본과 유럽의 석유화학 사업재편 사례를 참고하고 있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비산유국인 독일과 일본의 석유화학 기업들은 과거 범용 제품 위주에서 전지·농화학·기능성소재 등 스페셜티 위주로 다각화하는 데 성공했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기업들의 자발적 사업재편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들을 준비 중이며 관계 부처와 논의하고 있다”라며 “일본, 유럽 기업의 다양한 사례를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럽에선 기업들이 M&A를 활성화하며 사업재편이 이뤄졌고, 일본은 정부 주도의 구조조정을 진행했다. 세계 1위 석유화학 업체 독일 바스프는 적극적인 M&A로 범용 제품 비중을 2005년 42%에서 2022년 17%까지 줄였다. 일본 주요 석유화학 기업(미쓰비시·스미토모·신에츠)들은 R&D 강화로 범용 제품 비중을 40%대로 낮췄다. 일본 석유화학 업계는 ‘오일쇼크’ 여파로 1980년대 초부터 사업 재편을 진행했는데, 일본 정부는 공정거래법 적용을 한시적으로 유예하는 방식으로 구조조정을 지원했다. 산업부는 과거 일본 사례 연구 용역을 발주한 상태다.

기업들도 자구책을 마련하고 있다. LG화학은 올 3월 스티로폼의 원료 스티렌모노머(SM)를 생산하던 여수 SM공장 가동을 중단했다. 롯데케미칼은 지난달 말레이시아 합성고무 생산법인 LUSR의 청산을 결정했다.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명예교수는 “스페셜티로의 전환은 공장만 짓는다고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라 굉장한 R&D 투자와 기술 축적이 필요한 일”이라며 “시간이 걸리겠지만, 국내 석유화학 산업은 그것밖에 출구가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최선을 기자 choi.suneul@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