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에 로그인 방식 ‘패스키’ 적용
비밀번호 대신 생체 인증이나 핀 번호로 로그인
모바일·PC 카카오톡은 미적용...“확장 검토”
비밀번호 대신 생체 인증이나 핀 번호로 로그인
모바일·PC 카카오톡은 미적용...“확장 검토”
카카오 계정 패스키 도입 이미지 [사진 = 카카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앞으로 사용자들이 웹사이트 등에서 카카오 계정에 로그인할 때,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고도 지문이나 얼굴 인식 등 생체 인증으로 로그인할 수 있게 된다.
카카오는 카카오 계정에 비밀번호 입력 없이도 로그인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인 ‘패스키’ 기술을 적용했다고 25일 밝혔다.
패스키 방식은 기존 비밀번호 대신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패스키를 활용해 생체 인증 등으로 로그인하는 것이다. 패스키는 암호화 키 한 쌍을 생성해 공개 키는 해당 서비스의 서버에 두고 비공개 키는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한다.
서비스에 로그인할 경우 서버에 있는 키와 사용자 단말에 있는 키를 대조해 신원을 확인하게 되며, 이때 생체 인증 등을 통해 기기를 잠금 해제하는 것만으로 단말에 있는 키를 확인해 로그인할 수 있다.
패스키를 사용하면 얼굴 인식이나 지문 인식, 핀(PIN) 번호로 계정에 로그인할 수 있어 계정 비밀번호 분실 염려가 적으며, 설령 서버가 해킹되어도 비공개 키는 사용자 단말에 남아있기에 계정 탈취로부터도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카카오는 “복잡한 암호를 기억하거나 주기적으로 변경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사용자에게 더욱 안전하고 간편한 로그인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패스키를 도입했다”라고 설명했다.
카카오 계정 패스키를 등록하려면 카카오 계정 웹페이지로 접속해 ‘계정 보안’ 메뉴에서 등록해야 한다. 카카오가 개설한 카카오 계정 패스키 캠페인 페이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카카오 계정 패스키를 등록할 경우, 카카오 서비스뿐만 아니라 카카오 로그인을 사용하는 외부 서비스에서도 패스키를 통해 로그인할 수 있다.
다만 카카오가 이번에 도입한 것은 웹 기반의 패스키로 아직 모바일 카카오톡이나 PC 카카오톡 등의 앱에서는 패스키를 활용할 수 없다. 카카오는 일단 웹 기반에 먼저 패스키를 도입한 후, 점진적으로 확장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카카오 관계자는 “보다 많은 사용자들이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카카오 로그인을 사용하고 카카오계정을 관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캠페인을 진행할 예정이며, 로그인 페이지 개편 등 활용 범위도 점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