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9 (화)

이슈 연금과 보험

400조 퇴직연금 환승 시대 [스페셜리포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증권사 7.11% 수익률…은행은 4.87%


장면. 신한은행이 최근 ‘영업점 무서류 IRP(개인형 퇴직연금) 신규 서비스’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기존에는 고객이 개인형 IRP 계좌를 새로 만들려면 소득금액증명원,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사업자등록증 등 가입 대상임을 증명하는 서류를 지참해야 했다. 신한은행은 행정안전부가 제공하는 공공 마이데이터를 활용, 가입 대상 증빙 자료를 지참할 필요 없이 계좌 개설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퇴직연금(잠깐용어 참조) 운용적립금 규모 14년 연속 은행권 1위, 은행권 최초 적립금 40조원을 달성한 은행으로서 고객 편의성을 높이고자 이번 서비스를 시행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퇴직연금 환승 시대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서라는 해석이 나온다. 올해 9월 말 기준 증권·보험·은행 등 42개사가 굴리는 퇴직연금 총 적립금은 400조1000억원(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 공시)에 달한다. 키움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퇴직연금은 2030년이면 445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추정치대로라면 연평균 15%대 성장세다.

금융감독당국은 퇴직연금 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금융사끼리 가입자 수익률 경쟁을 장려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이를 제도적으로 보완하기 위해 마련한 것이 퇴직연금 실물 이전 서비스다. 이 서비스는 퇴직연금 계좌를 다른 퇴직연금 사업자로 이전할 때 가입자 요청에 따라 기존에 운용 중인 상품을 매도하지 않고 이전받을 계좌로 실물 그대로 이전하는 제도다. 올해 10월 말 시행했다. 금융 소비자에게는 복잡한 절차를 줄여주고 노후 대비를 보다 적극적으로 유도하도록 기획됐다. 퇴직연금 계좌를 이전하려는 가입자는 다른 금융기관에 새 계좌를 개설한 뒤 이전 신청서를 접수하면 된다.

시행 이후 마케팅 전쟁 치열

시중은행 대형 광고 모델 기용

매경이코노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매경이코노미

뺏고 뺏기는 퇴직연금 시장이 만들어지다 보니 금융사별 마케팅 공세가 한층 두드러진다. NH농협은행 퇴직연금 모델 변우석(위), 우리은행 모델 아이유(아래). (각 사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뺏고 뺏기는 시장이 만들어지다 보니 금융사별 마케팅 공세가 한층 두드러진다. 특히 대형은행 행보가 거세다. 퇴직연금 운용적립금 적립금 1위(약 40조원)를 달리고 있는 신한은행은 일찌감치 신규 고객 확보를 위해 올해 9월부터 가수 윤종신과 배우 이정하를 기용, 퇴직연금 광고를 대대적으로 선보였다. 우리은행(아이유), 하나은행(안유진)도 스타 마케팅으로 맞불을 놨다. NH농협은행은 최근 대세 배우 변우석을 모델로 내세워 퇴직연금 광고에 나서면서 이 시장 석권 의지를 뚜렷하게 과시했다.

각 증권사는 순입금 이벤트로 실제 고객 유치에 공들이는 모양새다. 삼성증권은 연말까지 IRP 계좌에 신규 입금 또는 퇴직금 입금, 타사 연금 이전, 만기된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입금 등 경우를 모두 합산해 순입금액에 따라 경품을 지급하기로 했다. 특히 타사에서 연금을 이전하면 지급 조건 금액을 2배로 인정받도록 설계했다.

유안타증권 역시 연금 계좌 순납입 금액에 따라 최대 103만원 모바일 백화점 상품권을 증정하는 등의 ‘순입금 이벤트’를 열고 있다. 유안타증권도 은행·보험사의 연금 계좌 이전 금액과 중개형 ISA 만기 자금을 연금 계좌로 입금한 금액은 2배로 인정해준다.

업계 관계자는 “중요한 것은 얼마나 가입 절차가 편리할지, 또 높은 수익률을 가져다줄지가 관전 포인트”라고 말했다. 퇴직연금 점유율은 은행이 적립금 210조원, 52.6% 점유율로 절대 우위다. 이어 ▲증권(24.1%) ▲보험(23.3%) 순이다.

매경이코노미

잠깐용어 *퇴직연금 | 사용자가 퇴직급여 재원을 금융기관에 적립해 운용하다가 근로자가 퇴직할 때 연금 또는 일시금으로 지급하는 제도다. 확정급여형(DB)과 확정기여형(DC), 개인형(IRP) 등으로 나뉜다.

[박수호 기자 park.suho@mk.co.kr, 배준희 기자 bae.junhee@mk.co.kr]

[본 기사는 매경이코노미 제2284호 (2024.11.13~2024.11.19일자)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