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8 (토)

“니하오 코리아” 中 BYD, 국내 승용차 시장 진출… 첫 모델 전기 세단 ‘씰’ 유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BYD코리아, 승용차 시장 진출 공식화

내년부터 온라인 판매 방식 공식 출범

공식 홈페이지서 티저 영상 공개

첫 모델 BYD 해양 시리즈 ‘씰’ 유력

쏘나타 크기 중형 전기 세단

동아일보

BYD코리아 공식 홈페이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계 최대 전기차 브랜드로 거듭난 중국 BYD가 국내 승용 전기차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

BYD코리아는 13일 승용차 브랜드 국내 출시를 공식 발표했다. BYD는 미국 테슬라와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1~2위를 다투는 전기차 브랜드다. 전기차 배터리도 자체 생산해 글로벌 시장에서 배터리와 전기차로 이어지는 수직계열화를 완성한 유일한 업체이기도 하다.

국내법인 BYD코리아의 경우 지난 2016년 설립됐다. 승용 모델 진출에 앞서 전기버스와 전기지게차, 전기트럭 등 상용 전기차를 투입해 조금씩 국내 시장에 적응해왔고 이번에 최종 검토를 마치고 승용차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BYD코리아의 국내 승용차 시장 진출은 기정사실로 여겨져 왔다. BYD코리아 관계자는 “지난 수개월간 승용 브랜드에 대한 국내 사업성 검토를 다각도로 진행해 왔다”며 “현재 초기 판매와 서비스를 위한 지역별 네트워크 구축, 인력 채용, 차량 인증, 마케팅 계획, 직원 교육 등 내년 초를 목표로 BYD 승용 브랜드의 국내 공식 출범을 위한 준비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동아일보

BYD코리아 공식 홈페이지 티저 영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내 공식 홈페이지도 개설했다. 공식 오픈을 앞두고 임시 페이지를 운영하고 있다.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BYD 승용 전기차 티저 영상이 나온다. 대부분 가려진 모습이지만 실루엣과 헤드램프 디자인 등을 통해 영상 속에 등장하는 차가 BYD 중형 세단급 전기차인 ‘SEAL(씰)’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BYD 국내 첫 승용 모델로 씰이 거론된다. 다만 BYD코리아 측은 아직 국내 출시 차종 라인업이 확정된 것은 아니라고 전했다.

BYD가 운영하는 승용차 브랜드는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널리 알려진 BYD와 메르세데스벤츠와 조인트벤처 방식으로 설립한 럭셔리 브랜드 덴자(Denza, 腾势), 자체 럭셔리 브랜드 양왕(Yangwang, 仰望), 고성능 오프로드 브랜드로 선보인 팡청바오(fangchengbao, 方程豹) 등이다.

국내 도입 브랜드는 대중적인 BYD가 유력하다. BYD는 서브 브랜드 개념으로 ‘왕조’ 시리즈와 ‘해양’ 시리즈로 나뉜다. BYD 해양 시리즈는 주로 해외 시장 공략을 위한 모델로 볼 수 있다.
동아일보

BYD 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내 첫 中 승용 전기차 ‘BYD 씰’ 유력… 유럽 올해의 차 최종후보 오른 첫 중국차

BYD코리아 공식 홈페이지에서 티저 영상으로 등장한 씰도 BYD 브랜드 해양 시리즈 차종이다. 해양 시리즈로는 두 번째로 선보인 모델로 현대자동차 쏘나타급 중형 세단 전기차로 이해하면 된다. 차체 크기는 중국 현지 기준으로 가로와 너비가 각각 4800mm, 1875mm, 휠베이스는 2920mm다. 현대차 쏘나타(4910x1860, 휠베이스 2840mm)와 비슷한 수준이다. BYD의 셀투바디(Cell-to-Body) 기술을 기반으로 전기차 배터리에 최적화된 설계가 적용됐다고 한다. 엔트리 모델은 뒷바퀴에 전기모터가 달린 후륜구동 방식을 채택했고 사륜구동 모델도 선택할 수 있다. 중국 기준 배터리 용량은 61kWh급과 81kWh급 등 2종. 1회 충전 최대 주행가능거리는 트림에 따라 510~650km(중국 CLTC 기준, 일반적으로 국내 인증 수치보다 높게 나옴) 수준으로 알려졌다. 성능은 최고출력이 231~530마력, 최대토크는 38.7~70.4kg.m 수준이라고 한다. 충전은 230kW급 초급속 충전을 지원한다.
동아일보

BYD 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특히 BYD 씰은 중국 브랜드로는 처음으로 2024 유럽 올해의 차 최종후보(7대)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최종적으로 르노 세닉이 올해의 차로 선정됐지만 기아 EV9과 BMW 5시리즈, 볼보EX30, 푸조 3008, 도요타 C-HR 등 쟁쟁한 경쟁자들과 어깨를 나란히 한 것이다. 심지어 도요타 C-HR보다 높은 점수를 받아 최종후보 7대 중에서도 꼴찌를 면한 것으로 전해진다.
동아일보

BYD 씰 실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테슬라·폴스타처럼 온라인 판매… “중국차에 대한 한국 소비자 인식 고심 중”

국내 판매는 테슬라나 폴스타처럼 온라인 방식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승용 모델 국내 진출과 별개로 최근 BYD는 국내 완성차그룹 계열사와 협력을 추진하기도 했다. 지난 9월 현대글로비스는 BYD와 ‘물류 및 완성차 해상운송 사업에 대한 전략적 협업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바 있다. 세부적으로 글로벌 컨테이너 물류 운영과 자동차 운반선(PCTC) 공동 활용 등에 관한 협력을 추진하기로 했다. 특히 완성차 해상운송 분야의 경우 BYD가 소유하고 있는 자동차 운반선의 선복(선박 내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공동으로 활용하기로 했다.

중국산 자동차에 대한 국내 소비자 인식은 걸림돌이 될 수 있지만 중국에서 생산돼 국내 판매된 테슬라가 많은 인기를 얻으면서 중국산 자동차 품질에 대한 이미지는 다소 개선된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결국 가격 경쟁력과 품질이 국내 시장 성공 여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다. BYD 중국 본사에서도 한국 소비자들의 이러한 인식을 잘 알고 있어 이를 해소할 방안을 고심 중이라고 한다.
동아일보

BYD 아토3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인철 BYD코리아 승용사업부문 대표는 “국내 소비자의 높은 눈높이에 맞추기 위해 다양한 경험을 갖춘 임직원, 파트너사 관계자 등과 심도 있는 검토를 진행해 왔다”며 “글로벌 성공 경험과 함께 우수한 기술력으로 한국 소비자에게 신뢰를 줄 수 있는 브랜드로 거듭나기 위해 착실히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BYD는 전 세계에서 10만 명 넘는 연구·개발(R&D) 인력을 운영하고 있다. 배터리부터 모터, 전자 제어장치 등 전기차 관련 핵심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작년 친환경차(전기차, 플러그인하이브리드 모델 포함) 글로벌 판매량은 302만대로 집계됐다. 올해 3분기까지 누적 매출은 약 97조 원으로 전기차 수요 둔화에도 작년 동기 대비 18.9% 성장한 수치를 보이고 있다.
동아일보

BYD 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민범 동아닷컴 기자 mbkim@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