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태균씨의 변론을 맡은 김소연 변호사가 8일 오전 창원지검에 들어가기에 앞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최상원 기자 |
윤석열 대통령 부부의 국회의원 선거 공천 개입 의혹 사건의 핵심인물인 명태균씨가 2022년 6월 경남 창원의창 지역구에서 국회의원 보궐 선거에 출마한 김영선 전 국민의힘 국회의원을 윤석열 대통령에게 추천했고, 윤 대통령은 “알았다”며 명씨 이야기를 끝까지 들어줬다고 명씨의 변호인이 밝혔다.
그러나 명씨의 변호인은 “국회의원을 추천하는 것은 국민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이며, 그런 이야기를 존중하고 들어주는 것은 권력자의 당연한 태도”라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8일 오전 명씨가 자신의 변론을 맡은 김소연 변호사와 함께 창원지검에 출석했다. 김 변호사는 창원지검에 들어가기에 앞서 취재진과 인터뷰를 했다.
다음은 김소연 변호사의 인터뷰를 일문일답 형식으로 정리한 것이다.
-윤석열 대통령이나 김건희 여사 음성이 담긴 녹취 자료를 검찰에 제출할 것인가.
“제출할 예정 없다. 일부 언론이 바라는 폭로는 행사할 것도 없고, 영원히 없을 것이니까 기대하지 말라.”
-(명씨가 자신을 구속시키면) 추가 폭로하겠다고 예고하지 않았나?
“없다. 폭로를 한 일도 없다. 강혜경씨가 본인 범죄 혐의를 벗기 위해서 숨 쉬는 것 빼고 전부 거짓말을 해서 생긴 사건이다.”
-명씨가 어제(7일) 페이스북에 사과글을 왜 올렸나.
“본인이 폭로한 건 아니지만 제3자들이 녹음을 해서, 어쨌든 이유 여하를 불문하고 바깥으로 여러 정치인들에 대한 어떤 평판이나 본인이 생각하는 바가 공개됨으로 인해서 대통령님과 윤상현 의원님이나 이런 분들에 대해 누를 끼치게 돼 깊이 사과를 드리는 말씀으로 알고 있다.”
-대통령 육성이 담긴 녹취록까지 나온 상황에서 이 모든 혐의를 부인한다는 것이 이해되지 않는다.
“대통령 육성이 혐의와 무슨 관계가 있나. 관계가 전혀 없다. 일반 국민이 우리 지역을 사랑하는 마음에 우리 지역의 일꾼으로 열심히 일할 국회의원 후보를 추천하는 건 대통령이 아니라 누구에게도 할 수 있는 일이다. 아무 직함도 없는 일반 국민이 하는 말을 경청하고 귀담아들어 주신 대통령님과 김건희 여사님이 참 훌륭하신 분이라고 명씨가 말한다. 그것을 듣고 따랐다는 것이 아니다. 무시하고 안 듣고 전화 끊어버리고 이런 게 아니라, 존중하고 잘 들어주신 건 권력자의 당연한 태도이다.
우리나라 정치인들은 앞에서는 ‘예. 제가 다 해결했습니다’ 이렇게 말은 하지만,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리는 게 습성이 돼 있다. 그런 부분에 있어서 대통령께서는 어쨌든 경청하신 부분, 일반 국민의 말씀까지 귀담아들으셨다는 점에서 미담일 뿐이다. 이게 무슨 공천 의혹인가.
-(2022년 6월) 국회의원 보궐선거 때 김영선 전 의원을 대통령님께 추천했다는 것인가?
“통화 녹음 그대로 추천한 것이다.”
-어떤 경로를 통해서 추천했나.
“김종인 위원장, 이준석 전 당대표, 김영선 전 의원 등과의 인연으로 대통령 부부와 연이 닿아서 식사도 한번 하고 전화통화도 몇번 주고받았다. 그때 어쨌든 유력 대통령 후보 당선인까지 오셨으니, 힘 있는 분께 우리 지역 보궐선거 후보로 김영선 의원이 됐으면 좋겠다, 꼭 좀 부탁드린다, 이렇게 말씀하신 것이다. 그런 이야기는 일반 국민들도 내가 지지하는 정치인이 국회의원이 됐으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아는 국회의원이나 권력자에게 전화해서 이야기하기도 한다.”
-녹취록에서 대통령에게 ‘이 은혜 평생 잊지 않겠습니다’라고 했는데, 어떤 의미인가.
“(명씨가) 추천하니까 (윤 대통령) 본인이 ‘알겠다’라고 말씀하셨다. 명씨 입장에서는 대통령 당선인께서 ‘알겠다’라고 하시니 ‘감사하다’고 한 것이다.
-또다른 녹취록에서 ‘사모(김건희 여사)가 선물이라고 하대’라고 했는데, ‘선물’은 무슨 뜻인가.
“김영선 의원이 민생안전특별본부 본부장으로 임명됐다. 연유는 잘 모르겠지만, 명씨는 본부장 자리를 자기가 했다고 생각하고, 내부에서 내가 누구 공천도 내가 하고 이런 식의 이야기를 한 것뿐이다. 그것을 자기 힘으로 했다고 본인이 생각하고 그렇게 말한 것이다.”
-대통령 부부는 국회의원 공천 개입과 무관하다는 것인가.
“그런지 아닌지는 검찰이 밝힐 일이다. 명씨는 추천을 했을 뿐이다. 일반 국민 누구나 후보자를 추천할 수 있다.”
-대통령 부부와 명씨가 연락을 주고받은 기간과 횟수는 어떻게 되나.
“알지 못한다. 그리고 본인도 말할 생각이 없다고 한다.”
-(대통령 부부와 명씨가) 언제까지 연락했나.
“그것도 이야기하지 않았다.”
-대통령 부부가 시키는 대로 하라고 명씨가 김 전 의원에게 고함쳤던 것은 무엇인가.
“미래한국연구소 서울본부가 생겼는데 그것과 관련해서 (김 전 의원이) 어떤 사업을 좀 하고 싶었던가 보더라. 그것을 못하게 하려고 좀 윽박지르는 내용으로 대통령 부부를 팔았던 것 같다. 국회의원한테 어떤 일을 못하게 하려면 더 센 권력을 운운해야 하지 않겠나.”
-명태균씨가 그렇게 더 센 권력을 운운한 사례가 더 있나.
“꽤 있었던 것 같다. 왜냐하면 대통령님 부부와 연락을 몇 차례 주고받은 건 사실이고, 캠프 내 사람들이나 주변인들이 알고 있기 때문에 그걸 잘 이용을 한 것이다.”
-명태균씨가 불법 여론조사를 지시한 적은 있지 않은가.
“그냥 본인이 보고 싶어서 언제까지 몇 샘플 돌려서 해달라 이런 요청을 했다고 한다. 자체 조사라서 문제가 없다.”
-미래한국연구소는 2019년, 2020년, 2022년 등 세번이나 자체 조사 과정에서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유죄 판결을 받지 않았나.
“그 시기가 언제인가? 그때 소장이 김태열 소장이었다.”
-김태열 소장은 미래한국연구소 실제 소유주는 명씨라고 이야기한다.
“재미있는 이야기이다. 오늘 그것 관련 증거를 제출하러 왔다.”
-대통령선거 시절 미래한국연구소 이름으로 나온 보고서와 명씨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는 것인가.
“관련 없다. 미래한국연구소가 피엔아르(PNR)나 여러 기관과 함께 협업해서 의뢰를 받아서 한 것이다.”
-비공표 여론조사도 마찬가지인가.
“자체 조사 중에 일부를 명씨 본인이 보기 위해서 대가를 치르고 했다. 예를 들면 2천만원 정도를 주식으로 미래한국연구소에 돈을 집어넣었다. 그리고 그 금액 이하만큼의 자체 여론조사 결과를 받았다.”
-가중치를 지시하는 녹취가 나왔다.
“본인이 여론조사를 했던 사람이기 때문에 이렇게도 해보고 저렇게도 해봤을 때 어떤 결과가 나오는지 스스로 판단하려고 해봤다고 한다.”
-공천 관련해서 지방선거 후보자들에게 돈을 받았던 의혹도 있다. 출마자 본인들이 돈을 줬고, 공천을 받지 못하자 돈을 돌려달라고 이야기하는 통화 녹취가 있다.
“그 사람들이 직접 말을 한 녹취가 아니다. 당시 김태열 소장이 출마자들한테 경영이 어려워서 도움을 요청했다고 한다. 그래서 도와주기로 했으니까 여론조사 관련해서 비용 부족하면 그 사람들한테 알아서 해결해라 이런 뜻이었다고 한다.”
-창원 제2국가산단 선정 과정에 명씨가 개입했다는 의혹도 있다.
“명씨 본인이 정책 아이디어를 지역구 국회의원인 김 전 의원에게 수시로 말씀드렸고, 그것을 관철하기 위해서 여러 조사를 해서 실제로 문건으로 만들어서 김 전 의원님께 드리기도 했다고 이야기한다. 이것은 아주 건강하고 건전한 주권자인 국민으로서 당연히 지역을 사랑하는 마음에 정책 아이디어를 제안한 것이다. 장려할 일이다.”
-이 모든 것을 강혜경씨가 주도했다는 것인가?
“주도한 것이 아니다. 강혜경씨는 미래한국연구소 통장 계좌와 본인 계좌 2개, 그리고 김 전 의원의 정치자금 계좌를 전부 들고 수시로 입출금을 하고 현금을 빼고 왔다 갔다 했다. 모든 돈 관리를 강혜경씨가 했다.”
-명태균씨가 2022년 대우조선 파업현장에 가서 그 현장을 둘러보고 대통령께 보고한 것도 맞나?
“피식 웃으시더라. 그냥 웃기는 이야기라는 것이다.”
-어제(7일) 대통령 기자회견에 대해서 명씨는 뭐라고 하던가?
“사실대로 대부분 맞다고 하더라. 세가지 의혹에 대해서. 대통령께서 여론조작 그런 것 할 줄 모르고 지시한 바 없다, 공천 개입 부분은 당선인으로서 당시 인수위에서 새벽 2시까지 고3과 같은 마음으로 공부하는 심정으로 일하기 바빴기 때문에 개입 관여할 수 없었고 그런 지위에 있지 않았다, 창원 산단은 대통령 대선 공약이었고 산업통상자원부·국토교통부 등 협의를 거쳐서 절차에 따라 진행한 것이라서 누군가 개입으로 이뤄질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 이 세 가지에 대해서 명확하게 맞다고 본인도 생각한다.”
최상원 기자 csw@hani.co.kr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언론, 한겨레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행운을 높이는 오늘의 운세, 타로, 메뉴 추천 [확인하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