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성은 한국외대 동유럽언어문화학과 교수. 사진 민음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최근 내한한 폴란드 대통령에게 훈장을 받은 최 교수를 지난달 31일 서울 강남구 민음사 사옥에서 만났다. 안제이 두다 폴란드 대통령은 지난달 24일 서울 성북구 삼청각에서 열린 수여식에서 “폴란드어와 폴란드 문학을 한국에 널리 알리고 폴란드어 교육과 후학 양성을 위해 헌신한 업적을 치하한다”며 최 교수에게 훈장을 건넸다. 2012년 십자기사 공훈훈장, 2014년 아르티스 문화공훈 메달에 이은 세 번째 훈장이다.
최 교수는 노벨문학상 작가 올가 토카르추크의 『태고의 시간들』『방랑자들』 헨리크 시엔키에비치의『쿠오 바디스』등 폴란드 문학을 대표하는 책 40여권을 번역했고 2007년부터 외대 폴란드어과 학과장을 지냈다. 다음은 일문일답.
Q : 어떻게 폴란드 문학을 전공하게 됐나.
A : 고3이었던 1989년, 베를린 장벽이 무너졌다. 그때 뉴스를 보면서 철의 장막 너머에 있는 비밀스러운 나라들은 어떤 말을 쓰고 어떤 문화를 갖고 있을까 궁금했다. 그때까지는 한국과 전혀 교류가 없었기 때문에 정보가 귀했다. 사회주의에서 자본주의로 체제 전환하는 나라의 언어를 공부하면 기회가 있을 것이고 개척자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Q : 폴란드 문화의 특징은.
A : 폴란드는 슬라브 민족이지만 동방 정교회가 아닌 기독교 문화권이다. 문자도 키릴 문자가 아닌 라틴 문자를 쓴다. 지리적으로는 러시아와 독일 사이에서 양쪽의 문화를 다 받아들였다. 외세의 침략도 많았다. 그러다 보니 모든 종류의 영향에 개방적이었고 다양한 문화를 흡수한 것으로 보인다. 유명한 예술가를 많이 배출할 수 있었던 배경이다.
Q : 특히 문학에 대한 자부심이 크다고 들었다.
A : 폴란드는 문학을 통해 저항한 나라다. 1795년부터 1918년까지 123년 동안 러시아·프로이센·오스트리아 3국이 폴란드를 점령했다. 사실상 나라가 사라진 거다. 이 시기에 문학 사조로 낭만주의, 실증주의가 자리 잡았고 시인들은 러시아에 저항하며 봉기를 일으켰다. 100년 넘게 지배를 받으면서도 고유의 언어와 문학을 지켰다는 자긍심이 크다.
Q : 식민지 시기 한국 문학과 비슷한 궤적이다.
A : 맞다. 제2차 세계대전 때 폴란드에서 활동했던 시인을 '콜럼버스 세대'로 부르는데 이들의 시를 보면 윤동주의 시와 상당히 비슷하다. 자기희생을 주제로 하고 십자가를 주요 상징으로 사용한다는 점 등이 그렇다. 양쪽 다 20대 청년이었고 조국의 독립을 보지 못하고 죽었다. 술 좋아하고 사람 좋아하는 민족성도 양국이 비슷하다. 집에 놀러 온 친구를 배불리 먹이고 음식을 바리바리 싸 주는 게 폴란드 사람의 정서다.
Q : 폴란드 문학 '1세대 번역가'라고 들었다.
A : 소수 언어이고 변방 국가다 보니 한국 출판사에서 큰 관심을 갖지 않았다. 2001년에 폴란드에서 박사 과정을 마치고 한국에 들어와서 이듬해부터 출판사 문을 두드렸다. 아무도 일을 안 줬는데 혼자 책 리뷰와 샘플 번역을 들고 출판사 사람들을 만나러 다녔다. 그러다 폴란드 시인 쉼보르스카의 책을 번역했고 점점 일이 늘어 여기까지 왔다.
2019년 노벨문학상을 받은 폴란드 작가 올가 토카르추크. 사진 Karpati & Zarewicz / ZAiKS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Q : 번역한 작품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A : 최신작인 올가 토카르추크의 『기묘한 이야기들』(민음사)을 꼽고 싶다. 원제의 '비자르네'(bizarne)를 '기묘한'으로 옮겼는데, 사실 비자르네는 폴란드어 사전에 없는 단어로, 토카르추크가 프랑스 단어에 폴란드식 어미 'ne' 를 붙여 만든 신조어다. 이런 식으로 뉘앙스는 이해되지만, 어딘가 낯선 느낌을 주는 것이 토카르추크의 스타일인데 번역가에게 많은 숙제를 안겨준다.
홍지유 기자 hong.jiyu@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