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공매도 전면 금지

공매도 금지 1년 … 수혜종목 주가 반토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공매도가 전면 금지된 지 1년이 지난 뒤 공매도 금지 소식에 급등했던 종목들이 큰 폭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공매도가 주가를 누른다는 일각의 의혹 제기와 달리, 공매도 없이도 결국 주가가 펀더멘털과 업황 영향으로 하락한 것이다.

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공매도 전면금지 첫날인 지난해 11월 6일 주가가 상한가로 직행했던 에코프로와 에코프로비엠은 1년이 지난 1일 주가가 각각 38.3%, 21.8%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이 상한가를 기록했던 포스코퓨처엠 역시 공매도 금지 전보다 주가가 12.1% 떨어졌다. 금지 첫날 27% 올랐던 포스코DX는 코스피 이전 상장에도 1년간 44.9% 내렸다.

당시 공매도 전면금지가 결정됐던 것은 외국계 투자은행(IB)들의 불법 공매도 의혹이 커졌고 관련 조사가 요청됐기 때문이다. 이와 별개로 당시 주가 변동성이 커지던 2차전지 관련주에 대해 개인투자자는 주가 하락의 원인으로 '공매도 세력'을 지목하며 공매도 금지를 요청하기도 했다.

공매도 금지 첫날 상한가까지 갔던 종목들은 둘째 날에는 10%대 하락하는 등 주가가 롤러코스터를 탔다. 그러다 올 들어 우하향 추세에 접어들었다. 공매도 전면금지로 급등했던 종목 대다수가 2차전지·배터리 관련 회사였는데 전기차 업황에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과 함께 밸류체인 실적 악화가 현실화됐기 때문이다.

가령 에코프로비엠 영업이익은 2021년 1150억원에서 2022년 3807억원으로 고속 성장했으나 2023년엔 1560억원으로 주저앉았다. 게다가 올해 영업이익은 100억원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때문에 지난해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했던 포스코홀딩스나 엘앤에프 역시 공매도 전면금지 전보다 현재 주가가 20%가량 빠졌다.

2차전지주가 공매도 대상이 된 원인은 고평가인데, 공매도 유무와 관계없이 고평가 해소 과정이 나타나면서 주가가 하락한 측면이 있다. 반대로 HLB와 같은 바이오 업종은 신약 개발 등의 모멘텀으로 1년간 큰 폭으로 주가가 상승했다.

불법 공매도 조사와 공매도 전산 시스템 구축은 성과를 내고 있지만 여전히 공매도 전면 금지가 외국인 투자자에게 시장 비친화적인 시그널이 됐다는 비판이 나온다. 지난해 11월 발표 당시에는 6개월 한시적 조치였으나 전산화 시스템 마련이 미비하다는 이유로 내년 3월 30일까지 금지 조치가 이어진다. 실제로 지난달 초 파이낸셜타임스스톡익스체인지(FTSE) 러셀그룹이 공매도 금지를 이유로 한국을 선진 시장에서 관찰국으로 지정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기도 했다.

한 글로벌 은행 관계자는 자본시장연구원 인터뷰에서 "한국이 선진 시장으로 격상하기 위해선 시장 탄력성이 필요하며 그 핵심 요소는 공매도"라고 지적했다. 공매도가 금지됐음에도 코스피·코스닥이 주요국 증시 가운데 올해 성과가 가장 저조하다는 사실은 아픈 부분이다. 올 들어 지난달 말까지 코스피는 0.26% 올라 제자리걸음에 그쳤다.

[김제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