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보는 세상
지난해 11월 22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그린비즈니스위크 2023'을 찾은 참석자들이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올해 행사는 10월 16일 코엑스에서 열린다/사진=이기범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돈도 더 들고 전문 인력도 필요한데 막막합니다"
화장품 용기를 제조하는 중소기업 A사 관계자의 말이다. 그는 걱정이 한 두가지가 아니라고 푸념했다. 올해부터 주요 납품처인 프랑스 B사로부터 환경보건안전 실사를 받는데 요구사항이 지나치게 깐깐해 현재 회사의 가용 자원만으론 대응이 어렵다는 것이다.
탄소 배출이 많은 국가에서 생산·수입된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유럽의 탄소국경세. 국내 산업현장은 이 규제가 몰고 올 태풍의 간접 영향권에 이미 진입했다. 유럽은 2026년부터 철강과 시멘트 등에 온실가스 1톤당 10~50유로의 벌금을 부과한다. 규제 시행을 앞두고 유럽은 공급망 실사지침을 내렸다. 탄소중립 달성 속도가 늦은 만큼 기업의 비용 부담이 커지고 이와 연동돼 사회적 비용 역시 총체적으로 뛰게 된다.
탄소중립은 추상적인 구호가 아니라 구체적인 현실의 문제로 다가오고 있다.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막기 위해 주요국은 지난 10년간 무탄소에너지 사용을 늘리며 탄소중립을 향한 발걸음을 재촉했다. 탄소중립 달성이 늦은 국가와 기업에 대해선 동참을 이끌어낼 '당근과 채찍'을 준비했다. 이 같은 10년간의 준비가 '규제'라는 형식으로 덮쳐오는 것이다. 우리는 어느 정도 준비가 돼 있는지 점검해야 할 시점이다.
다행히 탄소중립을 위한 한국의 '빌드업'은 지난해부터 본격화했다. 우선 대표적 무탄소 에너지원인 원전 생태계를 복구했다. 올해 체코로부터 원전을 수주해 15년 만에 수출에 성공한 '팀코리아'의 성과를 통해 이 같은 점이 증명됐다. 수년간 축적된 신재생에너지 기술력도 높다. 수소 영역에서 한국은 세계에서 처음 청정수소 발전 입찰 시장을 개설한 국가가 됐다. 태양광 산업은 미국 모듈 시장 점유율 1위를 수년째 수성하고 있다.
이 같은 '빌드업'을 기반으로 우리의 주요 시장이 요구하는 탄소중립이라는 '골대'에 도달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 필요한 마지막 단추는 원전과 신재생에너지의 '조화'다.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극복하고 원전과 조화롭게 사용할 길이 열려야 한다. 그동안의 빌드업을 통해 한국은 원전과 신재생에너지의 2인 3각으로 주요국 탄소국경세 시행 등에 따른 위기를 녹색성장의 기회로 전환하기 좋은 역량을 확보하고 있다.
오는 16일부터 사흘간 코엑스에서 열리는 '그린비즈니스위크(이하 GBW) 2024'는 탄소중립·녹색성장을 주도하는 에너지 기술의 현주소를 확인해볼 수 있는 자리다. GBW는 한국형 신 에너지 기술이 막 개화하던 2019년 '대한민국수소엑스포'라는 이름으로 출범해 원전과 풍력, 태양광 등으로 외연을 넓혀 2022년부터 'GBW'라는 이름을 달고 모든 에너지와 이를 활용한 모빌리티 기술 등을 포괄하는 행사로 자리매김했다. 올해는 원전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무탄소 에너지원의 조화에 주목한다. 현장에서 이미 탄소규제의 벽을 실감하는 산업계가 이번 행사를 통해 해법을 찾는 계기를 마련하길 기대한다. 올해 'GBW'의 주제는 'For Earth, for us, for future'(지구를 위해, 우리를 위해, 미래를 위해)다.
안정준 기자 7up@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