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뱅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영국 정부가 탄소 중립 기후 목표를 위해 북한과 아프가니스탄 등에서 바이오매스를 수입하려는 기후 전략을 만든 것을 두고 “영국 기후전략의 신뢰성을 훼손하는 일”이라며 비판이 나오고 있다.
지난 8월 영국 정부가 발표한 ‘글로벌 바이오 에너지 자원 모델’을 보면, 기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바이오매스용 작물과 목재를 조달하기 위한 잠재적 수입국 목록엔 북한과 아프가니스탄, 부탄 등이 포함됐다. 그러나 환경운동가들을 비롯한 기후 전문가들은 이런 계획은 “완전히 미친 일”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고 9일(현지시각) 영국 가디언 등은 보도했다.
산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을 모니터링하는 영국 단체 ‘정책 무결성을 위한 파트너십(PFPI)’의 총책임자 메리 부스 박사는 북한 등을 바이오매스의 주요 공급원으로 삼는 것은 “일어날 리 없는” 것처럼 보인다고 말했다고 가디언은 덧붙였다. 기존 산림 벌채에 문제가 있거나 독재 정권인 북한처럼 투명성이 부족한 국가들을 상대로 바이오매스를 수입하는 데 대한 대비가 불충분하다는 지적이다.
현 노동당 정부에 앞선 보수당의 리시 수낵 총리 시기인 지난해부터 2050년까지 영국의 경제 전 분야를 탈탄소화하는 핵심 대안으로 바이오매스를 설정했다. 수낵 정부는 지난 20년간 전력 및 열 부문에서 바이오매스를 사용해 온 기업들에 200억파운드(약 35조2100억원) 이상을 지원하는 정책도 실행했다. 그러나 현재 영국에서 사용되는 바이오매스의 3분의 1은 수입산으로, 정부 기준을 충족하려면 더 많은 바이오매스를 수입해야 한다. 2021년 기준 바이오매스용 목재 펠릿은 북미(76%)와 유럽연합(18%) 등에서 들여왔지만, 기존 수입처들은 앞으로 늘어날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리란 분석이다.
그러나 바이오매스에 의존한 탄소 중립이 정말 친환경적인 것인지도 오랜 논쟁거리다. 나무나 곡물을 태워 탄소를 배출하는 발전 방식인 바이오매스는 삼림훼손과 온실가스 배출 문제 등을 갖고 있다. 영국에 있는 세계 최대 바이오매스 발전소인 드랙스에서 나온 탄소 배출량은 지난달 가동을 멈춘 마지막 석탄 발전소인 랫클리프 발전소보다 4배 많았다는 보고가 나오기도 했다. 수낵 정부도 지난해 발표한 ‘2023 바이오매스 전략’에서 이런 문제에 동의하며 엄격한 기준을 준수한 바이오매스만을 인정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지난 1월 영국 감사원은 정부가 현재 마련한 방안은 업계가 지속가능성 기준을 충족하고 있다는 확신을 제공하기엔 부족하다는 감사 보고서를 냈다.
베를린/장예지 특파원 penj@hani.co.kr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행운을 높이는 오늘의 운세, 타로, 메뉴 추천 [확인하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