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6월19일 평양에서 정상회담을 한 뒤 서명한 북러 조약을 들어 보이고 있다. 평양/타스통신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72살 생일을 맞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축전을 보내 북-러 밀착을 과시했다.
김 위원장은 7일 생일을 맞이한 푸틴 대통령에게 보낸 축전에서 “당신의 탄생일을 맞으며 충심으로 되는 따뜻한 축하의 인사를 보낸다”며 “앞으로도 계속될 우리들 사이의 상봉과 동지적 유대는 새로운 전면적 발전궤도 위에 올라선 조로(북러) 친선과 전략적 협조 관계의 만년 기틀을 더욱 공고히 하고 지역과 세계의 평화, 국제적 정의를 수호하는 데 적극 이바지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8일 보도했다.
특히 김 위원장은 푸틴 대통령의 지난 6월 평양 방문을 계기로 북-러 관계가 “자주와 정의 실현을 공동이념으로 하는 불패의 동맹관계, 백년대계의 전략적 관계”로 승격됐다며 “우리들 사이의 친분을 더욱 두터이 하던 그날을 감회 깊게 회억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푸틴 대통령의 평양 방문에서 북-러가 사실상 군사동맹에 준한다고 평가받는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을 맺은 의미를 강조한 것이다.
김 위원장은 축전의 시작과 끝에서 푸틴 대통령을 “가장 친근한 동지”라 부르기도 했다. 북한과 중국 수교 75주년이었던 지난 6일 김 위원장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 보낸 축전에서의 표현과 대비된다.
북·중 수교 70주년이었던 2019년 김 위원장이 시 주석에게 보낸 축전에서는 ‘존경하는 총서기 동지'라고 칭했으나, 올해는 ‘존경하는’ 표현이 사라졌다. 김 위원장의 올해 축전은 5년 전 중국에 보낸 축전에 비해 글자수가 40% 정도 줄었고, “양국 인민이 피로써 지켜낸 사회주의” “조중 친선은 영원히 불멸한다” 등의 표현이 사라졌다. 시 주석의 축전 내용은 5년 전과 거의 동일하다.
코로나19가 끝난 뒤 김 위원장은 푸틴 대통령과 2번의 정상회담을 했고, 북-러 간 고위급 인사의 왕래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러시아 외무부는 7일에도 안드레이 루덴코 외무차관이 신홍철 러시아 주재 북한대사와 면담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그동안 김 위원장과 시 주석의 회담은 한번도 열리지 않았다.
북한이 러시아와 대비해 중국과 ‘거리두기’ 행보를 보이는 것은 북·중 사이의 복잡한 전략적 동상이몽과 관계가 있다. 한반도 주변 정세를 ‘한·미·일 대 북·중·러’의 신냉전 구도로 만들기를 원하는 김 위원장은 중국이 ‘북·중·러’ 협력 구도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북핵·미사일 문제에 대해 중국이 찬성한 유엔 대북 제재를 무력화시키기를 바라고 있다. 김 위원장은 시 주석에게 보낸 축전에서도 “조-중 협력관계를 새로운 시대의 요구에 맞게 굳건히 발전시킬 것”이라고 ‘새 시대 요구’를 강조했다.
하지만 미국·유럽 등과의 관계도 관리하면서 외교·경제 문제를 풀어나가려는 중국은 북한, 러시아와는 입장이 동일하지 않다. 이런 미묘한 갈등이 북-중 사이에서 표출되고 있지만, 북한과 중국 모두 서로의 이해관계를 강조하면서도 북-중 관계를 관리하겠다는 뜻은 분명하다. 북·중은 서로를 포기할 수 없는 관계이기 때문이다. 시 주석은 김정은 위원장에게 보낸 축전에서 “전략적 의사소통을 강화하고 교류와 협조를 심화시켜 전통적인 친선의 새로운 장을 계속 써나갈 용의가 있다”며 “나는 북중관계 발전을 고도로 중시한다”고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우크라이나 전쟁을 배경으로 한 러시아와 북한의 군사 협력은 지속적으로 진전되고 있다. 지난 3일에는 러시아가 점령하고 있는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 주변에서 북한 장교 6명을 포함해 20명 이상의 군인이 사망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우크라이나 당국은 북한이 러시아에 공급한 탄약의 성능 점검을 위해 도네스크 지역에 북한군을 배치했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국가안보·국방위원회 산하 허위정보대응센터(CCD)의 안드리 코발렌코 센터장은 “북한군이 도네츠크 지역에 배치된 것은 북한이 러시아에 공급한 탄약의 결함 및 사용을 점검하기 위해서”이며 “도네츠크 지역에 주둔하는 북한군은 주로 소수의 공병인력과 관련 있으며, 이는 북한에서 공급하는 탄약의 품질이 좋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했다고 우크라이나 언론 ‘키이우 포스트’가 7일 보도했다.
박민희 선임기자 minggu@hani.co.kr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행운을 높이는 오늘의 운세, 타로, 메뉴 추천 [확인하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