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5 (금)

이슈 하마스·이스라엘 무력충돌

이스라엘 표적 제거 성공했나…이란 사령관·헤즈볼라 新수장 실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 3일 이스라엘 베이투르 공격 이후

사피에딘 이어 쿠드스 사령관도 행방 묘연

"침묵, 불안 조성"…이란 여론, 생사 확인 촉구

이데일리

이란 쿠드스군(혁명수비대·IRGC 정예군)의 에스마일 가니 사령관(사진=AFP)


[이데일리 김윤지 기자] 이스라엘이 이란에 대한 재보복을 선언한 가운데 레바논 무장단체 헤즈볼라 새 수장에 이어 이란 쿠드스군(혁명수비대·IRGC 정예군) 사령관의 행방도 묘연해지면서 중동 내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6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복수의 이란 안보 당국자를 인용해 지난 3일 이스라엘이 레바논의 수도 베이루트를 공습한 이후 에스마일 가니 쿠드스군 사령관의 소식이 끊겼다고 보도했다. 지난달 27일 이스라엘의 공습으로 헤즈볼라의 수장 하산 나스랄라가 사망한 이후 가니 사령관은 헤즈볼라 지도부를 만나기 위해 최근 베이루트를 방문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3일 공습은 헤즈볼라의 새로운 수장 하심 사피에딘을 겨냥한 것으로, 사피에딘 또한 사망했는지 생사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이스라엘군은 당시 헤즈볼라 고위 지도부 회의가 열리던 지하 벙커를 공격했다.

나스랄라의 사촌인 사피에딘은 이란에서 신학을 공부했으며, 가셈 솔레이마니 전임 쿠드스군 사령관과 사돈 관계를 맺는 등 이란과 인연이 깊다. 가니 사령관의 전임자인 솔레이마니는 이란의 ‘국민영웅’으로 군부와 정치권의 실세로 2020년 1월 미국의 드론 공격으로 사망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란 언론을 인용해 가니 사령관은 지난달 29일 테헤란에 위치한 헤즈볼라 사무실에서 마지막으로 목격됐으며, 이란 최고지도자인 아야톨라 세예드 알리 하메네이가 지난 4일 테헤란에서 직접 집도한 금요예배에는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고 전했다. 하메네이가 금요 대예배의 설교자로 나온 것은 솔레이마니가 사망한 이후 처음이었다.

나다브 쇼샤니 이스라엘군 대변인은 가니 사령관 등이 지난 3일 베이루트 공습으로 사망했을 가능성에 대해 “해당 공습과 관련한 구체적인 결과는 추후 공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데일리

레바논 무장단체 헤즈볼라의 새로운 수장 하심 사피에딘.(사진=AFP)


헤즈볼라 집행위원회의 마흐무드 크마티 대변인 역시 이날 이라크 국영TV에서 가니 사령관 실종과 관련해 “우리도 이 문제의 진실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스라엘이 사피에딘을 찾기 위한 수색을 방해하고 있다면서 헤즈볼라가 차기 수장을 선출하기까지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23일 ‘북쪽의 화살’ 작전을 선언한 이스라엘이 헤즈볼라 근거지인 레바논을 집중적으로 공격했으며, 이란은 지난 1일 이스라엘을 겨냥해 약 200발의 탄도미사일을 포격했다. 당시 이란은 이스라엘의 공격으로 지난 7월 폭사한 하마스 수장 이스마일 하니예를 비롯해 나스랄라, 나스랄라와 함께 숨진 압바스 닐포루샨 혁명수비대 작전부사령관의 죽음에 대한 보복이라고 주장했다. 이후 이스라엘은 이란에 재보복하겠다는 방침을 분명히 했으며, 이란 군 당국은 지난 5일 최고 경계 태세에 돌입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혁명수비대 관계자는 NYT에 “가니 사령관의 행방에 대한 이란 당국자들의 침묵은 일반 대원들 사이에서 불안감을 불러오고 있다”고 말했다. 이란 온라인 매체 타브낙은 “가니 사령관이 건강하게 살아 있다는 소식을 기다린다”면서 당국자들이 그의 행방을 확인할 것을 촉구했다.

이란 혁명수비대는 1979년 이란의 이슬람 혁명으로 집권한 시아파 성직자들의 신정(神政) 체제를 보위하기 위해 창설됐다. 혁명수비대의 병력 규모는 19만명으로 추정된다. 2019년 당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혁명수비대를 테러 조직으로 지정했다. 미국이 공식적으로 다른 나라의 군대를 테러단체로 규정한 것은 처음이었다.

혁명수비대는 육해공군과 특수전 및 정예부대 쿠드스군, 민병대 조직 바시즈 등 크게 5개 조직으로 이뤄졌다. 이중 쿠드스군은 해외 작전을 담당하는 조직으로, 이란은 쿠드스군을 통해 이라크·시리아·아프가니스탄에서 시아파 민병대를 양성하고 헤즈볼라와 가자지구의 하마스, 예멘의 후티 반군 같은 단체에 무기와 자금, 병력 등을 지원하고 있다. 헤즈볼라, 하마스, 후티 반군 등은 이란을 주축으로 한 중동의 반이스라엘, 반미 무장조직 연대로 ‘저항의 축’으로 불린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