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2 (금)

이슈 통화·외환시장 이모저모

[금통위poll]②향후 통화정책 최대 변수는 '가계부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은, 오는 11일 금통위 개최

경제전문가 20인 설문조사

한국은행이 오는 11일 통화정책 방향 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 인하를 11월로 늦춘다면 가장 큰 이유는 '가계부채 우려' 때문일 것으로 보인다. 향후 금리 인하 폭과 속도는 집값과 가계부채 추이 등 대내변수와 미국의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 국제유가 등 대외변수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가 국내외 은행·경제연구소 이코노미스트와 증권사 연구원 등 경제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4일까지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전문가의 65%(복수응답·미응답 1명 포함)인 13명이 '가계부채 증가'를 향후 통화정책의 최대 변수로 꼽았다. 전문가의 45%(9명)는 가계부채 증가 요인인 '수도권 집값 상승' 추이도 통화정책의 최대 변수로 짚었다.

대다수의 전문가는 현재 가계부채 등 금융안정 부문을 제외하면 금리 인하 여건이 조성됐다고 평가했다. 백윤민 교보증권 연구원은 "한국 경제의 펀더멘털과 대외변수 등은 기준금리 인하를 지지하고 있다"며 "다만 가계부채 등 금융불균형 리스크가 금리 인하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반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안재균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 사이클에서 수도권 집값 상승과 가계부채 증가세는 지속적인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수도권 중심의 집값과 가계부채 추이가 향후 금리 인하 폭과 속도를 조절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성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사실상 금융안정 부문을 제외하면 나머지는 대부분 기준금리 인하를 지지한다"며 "부동산 가격과 가계부채 흐름이 향후 인하 경로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 또한 "금융안정 리스크 해소가 향후 한은의 금리 인하 폭과 속도를 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美 추가 금리 인하·국제유가 등 대외변수도 중요
미국의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 중동 지역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국제유가 등 대외변수에 따라 통화정책이 달라질 수 있단 의견도 각각 5명, 4명(복수응답)으로 많았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추가 금리 인하 폭에 대한 평가가 한은의 인하 기대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본다"며 "최근 불거진 중동 리스크로 인한 국제유가 급등도 인플레 리스크를 또다시 초래하는지 여부에 따라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한미금리차 축소를 위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관련 의사결정 이후에야 한은이 소극적인 인하에 동참할 것"이라며 "실물지표 중에선 물가가 가장 중요하다"고 진단했다.

경제성장률(3명)이나 내수(2명), 물가 여건(2명) 등 대내요인을 향후 통화정책의 변수로 꼽는 전문가도 있었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한은은 물가 여건 확인을 통해 통화정책 기조를 설정할 것"이라며 "이후 경기나 부동산 이슈를 감안해 속도나 강도를 조절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경기 우려가 워낙 크기 때문에 (통화정책에 있어) 내수 부진을 고려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한은은 부동산 문제 해결의 바통을 정부로 이양 중이다"라며 "10월 금통위에서 금리를 인하한 이후 한은의 핵심 정책 기준은 다시 경제성장률과 물가로 복귀할 것"이라고 말했다.

美 경기침체 가능성 '제한적'…둔화에 가까워
최근 미국의 빅컷(0.5%포인트 인하) 등으로 불거졌던 미국의 경기침체 가능성은 대다수의 전문가가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공 연구원은 "빅컷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정상화 관점에서의 금리 인하 성격이 유효하다"며 "급격한 경기 위축에 대응하기 위한 금리 인하가 아니란 점에서 금융시장 역시 안정적인 동향을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 연구원은 "미국 실물경기가 침체에 돌입할 가능성은 낮다"며 "고용시장은 다소 둔탁하지만 정상화 경로에 가깝고, 제조업과 소비 등은 연준이 올해와 내년 총 2%포인트 금리 인하에 나서면서 부진에서 점차 회복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망했다.

정성태 삼성증권 연구원은 "전미경제연구소(NBER)에서 경기 상황을 판단할 때 활용하는 주요 6개 지표 중 고용과 소비는 확장세이고 나머지는 보합세"라며 "경기침체를 경제 활동의 뚜렷한 둔화로 정의할 때 현재 경기침체 가능성은 낮다"고 평가했다.

미국 경기가 침체보단 둔화에 가깝단 평가도 있었다. 허정인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경제는 여전히 민간소비가 견조하고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온건한 둔화를 예상한다"며 "향후 실업률이 온건하게 상승하더라도 과거 같은 침체가 아닌 양극화 속에 경제 총량이 유지되는, 경제 전반의 온건한 쿨다운(cool down)일 것"이라고 말했다.

백 연구원은 "연준이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빅컷을 했으나 경기침체에 대응하기 위함이 아닌 침체 가능성을 고려한 선제적 대응에 가깝다"며 "미국 경기가 둔화되고 있지만 물가 지표의 안정세, 고용 등 일부 지표의 절대적인 수준 등을 감안하면 침체라고 보기엔 양호한 수치"라고 평가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당장의 경기 침체 시그널은 없더라도 고용 지표 등이 악화할 가능성에 유의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강 연구원은 "미국의 빅컷 결정은 연준 스스로 미국 경제 전망에 높은 수준의 불확실성이 있다고 봤기 때문"며 "당장의 경기 침체 증거는 없지만, 빅 스텝 인하의 핵심 근거가 고용지표였던 만큼 향후 고용 지표 악화 정도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우려했다.

정 연구원은 "미국의 주택 및 기업 투자 지표를 보면, 주택투자는 감소 중이며 기업투자는 증가 추세이나 이후 마이너스로 반전이 예상된다"며 "빅테크 기업들의 인공지능(AI) 투자 지속성 여부에도 불확실성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경고했다.

박재현 기자 now@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