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2 (금)

이슈 종교계 이모저모

‘서울대생 출가 사건’ 덕일스님 “탈종교 시대 불교의 새 모델 만들고 싶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동아일보

미국에서 활동하는 덕일 스님을 지난 30일 육군사관학교에서 만나 인터뷰하고 있다. 전영한 기자 scoopjyh@donga.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땐 출가만 하면 삶과 죽음의 문제를 알 수 있겠다 생각했지요. 30년이 다 돼가는데… 아직도 모르겠습니다. 하하하.” (덕일 스님)

1996~97년 서울대생 9명이 두세 명씩 짝을 이뤄 한꺼번에 출가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서울대 불교동아리 ‘선우회’ 출신인 이들은 평소 독실하게 불교 공부를 해왔는데, 급기야 진짜 출가를 해버린 것. 이들 중 한 명인 덕일 스님(미국 캘리포니아 법보선원장)은 계산통계학과 89학번으로, 졸업 후 1996년 경희대 한의학과에 입학했다가 같은 해 출가했다. 지난달 30일 서울 노원구 육군사관학교 군 법당에서 만난 그는 “동아리였지만 다들 불교에 진심이라 매일 아침 7시에 모여 108배와 참선, 경전 독송 등 머리만 안 깎은 반 수행자 생활을 했다”라며 “그래도 갈증이 해소되지 않아 출가했던 것 같다”라고 말했다.

덕일 스님은 “원래 삶과 죽음의 문제에 생각이 많았다”라며 “엄한 집안 분위기 탓인지 늘 내 마음을 꽁꽁 묶고 있는 사슬 같은 게 있었는데 그걸 벗어버리고 싶었다”라고 말했다.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지 못해 방황하던 중에 우연히 만난 불교동아리는 그의 인생을 완전히 바꿔 놓았다.

“선우회에서 평생의 도반(道伴·함께 불도를 닦는 벗)들을 만난 거죠. 그렇게 마음이 편하고 좋더라고요. 그렇게 4~5년을 하다 진짜 출가를 하면 원하던 것을 얻을 수 있을 것 같아 저질러 버렸지요. 하하하.”

동아일보

전영한 기자 scoopjyh@donga.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는 ‘저질러 버렸다’라고 했지만, 출가가 말처럼 쉬울 수는 없는 일. 그는 “처음엔 부모님께 큰 상처를 주면서까지 출가할 엄두가 나지 않았다”라며 “그래서 일종의 절충으로 한의대에 들어갔다”라고 말했다. 한의사가 되면 출가까지는 아니어도 일과 수행을 병행할 수 있을 것 같았다는 것. 하지만 막상 입학하니 생명을 다루는 게 그렇게 제 생각대로 적당히 해도 되는 일이 아니라는 생각에 자퇴했다고 한다.

“허락을 받고 하려 했으면 아마 못 했을 거예요. 그래서 편지만 남기고 떠났지요. 당시에는 단호하게 인연을 끊고 성불해서 부모님을 제도하면 더 크게 갚을 수 있다고 생각했으니까요. 그런데 공부하다 보니 부처님께서 결제(結制·수행을 위해 안거에 들어감) 중에도 부모님이 아프면 내려가서 봉양하는 게 맞는다고 하셨더라고요. 제가 잘못 생각해도 한참 잘못 생각한 거죠. 10년 만에 뵙는데, 그 불효를 어찌 다 갚을지….”

출가 후 그는 스리랑카 빼라데니야대에서 불교 고전어를 수학한 뒤 미 버지니아대에서 종교학 석사, UCLA 불교학 박사를 취득하고 현재 미 캘리포니아 오렌지카운티 가든그로브 법보선원에서 선원장을 맡고 있다. 그는 귀국하지 않고 미국에서 10여 년 넘게 공부와 수행을 병행하는 이유에 대해 “불교의 새로운 방향을 찾고 싶어서”라고 말했다.

동아일보

전영한 기자 scoopjyh@donga.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종교를 가리지 않고 탈종교화는 이미 드러난 현상이 됐습니다. 왜 이런 현상이 벌어지는지, 무엇을 버리고 무엇을 보존해야 하는지 아는 것이 불교의 미래를 열 열쇠겠지요. 그런 면에서 긴 세월 불교가 다양한 문화와 환경 속에서 어떻게 변화해 적응해 왔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아요. 그러려면 불교 밖에서 객관적으로 불교를 볼 필요가 있겠다 싶었지요.”

신앙에 매몰되기보다 인문학, 종교학이란 학문적 토대 위에서 지금 시대의 종교현상을 과학적·객관적으로 보고 싶었기 때문이라는 것. 덕일 스님은 “미국에 있으면 아무래도 전통 불교에 얽매이지 않고 새롭고 다양한 실험을 해볼 수 있다”라며 “지금처럼 엄청나게 변하는 세상에서 우리 삶에 더 효용성 있고 좋은 방향을 제시하는 불교의 새로운 미래 모델을 만들고 싶다”라고 말했다.

이진구 기자 sys1201@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