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3 (목)

[김병기 ‘필향만리’] 唯酒無量 不及亂(유주무량 불급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공자는 술을 금기시하지 않았다. 오히려 만남의 기쁨을 더하는 음식으로 여겼다. 그래서 “술은 마시는 양을 미리 정해두는 게 아니다. 상황에 따라 적절히 마시되 어지러운 상태에만 이르지 않으면 된다”고 하였다. 취하여 정신을 놓는 일은 물론, 술기운에 편승한 혈기를 내보여도 안 됨을 경계한 것이다.

‘난(亂)’에 이르지 않도록 술을 적절히 마신다는 것은 참 어려운 일이다. 흥이 흥을 부르고, 술이 술을 끌어서 결국은 어지러운 지경에 이르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래서 술을 경계하는 말도 참 많다. “주중불언진군자(酒中不言眞君子)” 즉 “술 마시는 중에 말을 삼가는 게 진짜 군자다”라는 말도 있고, 아예 술을 “벌성지광약(伐性之狂藥)” 즉 “내 본성을 쳐내어 미치게 하는 약”으로 여겨 경계하기도 했다.

중앙일보

唯:오직 유, 酒:술 주, 量:헤아릴 양, 及:미칠(이를) 급, 亂:어지러울 란. 술은 마시는 양을 미리 정해두지 않되, 어지러운 상태에는 이르지 않는다. 35x67㎝.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문장에 구두점을 새롭게(?) 찍어, “유주무량(猶酒無量)이니 불급(不及)이면 난(亂)이라.” 즉 “술은 한량없이 마실 테니, 나의 주량에 미쳐주지 않으면 시끄러우리라”라고 하시며 호탕하게 술을 드시던 가까운 지인이 있었다. 절제도 잘하는 편이었지만 결국 장수는 못 했다. 음주에는 ‘절제’라는 면허가 필요하다. 무면허 음주는 패가망신으로 가는 지름길이기 때문이다.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