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5 (금)

이슈 하마스·이스라엘 무력충돌

이스라엘의 ‘美 패싱’...네타냐후, 바이든도 통제 못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임시 휴전 추진 중 나스랄라 살해

과거 이스라엘-중동 중재했던 美

가자 전쟁 발발 이후 영향력 줄어

헤럴드경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2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 본부에서 열린 제79차 유엔 총회에서 연설하고 있다. [로이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김빛나 기자]중동에서 확전을 막기 위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외교전을 벌이고 있지만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헤즈볼라 수장 암살 등 독자적 행보를 보이면서 미국의 영향력이 사라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29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는 ‘왜 세계 최강국은 중동 전쟁을 막을 수 없는가’라는 기사에서 “중동 사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미국의 능력은 약화되었고, 다른 주요 국가들도 사실상 방관자다”고 평가했다. 지난해 10월 가자 전쟁 발발 이후 최근 1년 간 주요 강대국들이 이스라엘과 중동 간 공습을 중단시키거나,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고 NYT는 전했다.

바이든 정부는 가자 전쟁을 끝내기 위해 휴전안을 협상 중이라고 거듭 말했지만 결국 실패했다. 헤즈볼라의 수장 하산 나스랄라가 이스라엘의 폭격으로 27일 사망하자 다음날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은 헤즈볼라, 하마스, 후티 반군에 맞서는 이스라엘의 자위권을 완전히 지지한다”면서도 “이제는 협상을 마무리할 때”라며 가자지구 전쟁 및 이스라엘-헤즈볼라 충돌의 휴전을 촉구했다. 앞서 미국은 영국·프랑스 등 서구 국가들 및 사우디아라비아·아랍에미리트(UAE) 등 중동 국가들과 함께 21일간의 임시 휴전을 제안한 바 있다.

NYT는 “이스라엘이 하산 나스랄라를 살해한 이후 임시 휴전 성공 가능성은 매우 불확실해 보인다”며 “네타냐후 총리가 헤즈볼라에 대한 공습을 시작하기 전 미국과 협의조차 하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헤럴드경제

29일(현지시간)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 남부 지역에서 이스라엘의 공습으로 건물이 무너졌다. [AF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은 지금까지 이스라엘과 중동 국가를 중재할 수 있는 유일한 국가였다. 1978년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은 이집트의 안와르 사다트 당시 대통령과 메나헴 베긴 당시 이스라엘 총리를 캠프 데이비드로 불러 양국의 협상을 주도한 바 있다. 1994년에도 요르단과 이스라엘의 평화 조약을 중재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스라엘의 적(敵)이 바뀌면서 미국의 영향력이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다. 친이란 세력으로 불리는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와 레바논 무장정파 헤즈볼라는 테러 조직으로 분류돼 미국과의 외교가 단절된 조직이다. 레바논과의 임시 휴전도 이집트, 아랍에미레이트(UAE) 등 아랍 국가의 협조를 얻어 진행하고 있다. 한때 미국의 도움을 줬던 러시아도 우크라이나 침공 후 이란에 군수품을 의존하면서 미국에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인근 국가들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문제에 관여할 만큼 강하지 않다는 점도 미국의 외교를 어렵게 하고 있다. NYT는 “이집트는 팔레스타인 난민이 자국으로 유입되는 상황을 우려하고 있고, 경제개발이 진행 중인 UAE는 팔레스타인 국가를 돕긴 하지만, 자국을 위태롭게 하지 않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헤럴드경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2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에 대한 이스라엘의 공습을 승인했다. [로이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의 변신도 미국의 입장을 곤란하게 하고 있다. NYT는 “그의 움직임은 이란, 그리고 다른 중동 국가들과 광범위한 지역 전쟁을 촉발할 위험이 있다는 동맹국의 경고를 무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일부 분석가들은 네타냐후 총리를 통제하지 못한 건 바이든 정부 탓이라는 지적을 내놓는다. 바이든 정부가 가자 전쟁 발생 당시 하마스와 휴전 협정을 신속하게 체결하지 못했고, 가자지역 주민들에 대한 지원도 늦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행보가 이스라엘에 미국이 이스라엘에 대한 지원을 끊지 않을 것이라는 자신감을 심어줬다는 평가다.

NYT는 “미국이 한 차례 무기를 실은 선적을 동결하는 것 외에는 (이스라엘에 대한) 실질적인 압박을 가하지 않았다”며 “네타냐후 정부에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무기를 계속 제공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록펠러 브라더스 펀드 자선 단체의 회장인 스티븐 하인츠는 “20세기에 국제 문제를 해결해 온 곳들이 더 이상 새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며 “이들은(미국 등 강대국) 비효율적이며 시대착오적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단순하게 말해 쓸모가 없다”고 전했다.

binna@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