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1 (월)

“한국 교통인프라, 세계서도 통했다”…땅속부터 하늘까지 촘촘한 설계 최강점이라는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영태 OECD 국제교통포럼 사무총장

전세계 교통정책 표준 제시
7년째 수장 맡아 위상 높여
회원국 59개서 69개로 늘어
문제 집중·소통 ‘K행정’ 성과

소프트웨어 산업화 된 교통
선도국 한국에 협업요청 쇄도
인프라 세일즈 외교 해야할 때


매일경제

김영태 국제교통포럼 사무총장 [이충우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K-행정’은 세계에 통합니다. 우리 정부가 행정 역량에 자신감을 갖고 인프라 세일즈 외교에 나선다면 반드시 성과가 있을 겁니다.”

전 세계 각국 정부 교통 당국의 최우선 참고 기준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세계교통포럼(ITF)을 이끌고 있는 ‘늘공(늘 공무원)’ 김영태 사무총장은 최근 서울 청담동에서 매일경제신문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ITF는 2006년 OECD에 설립된 기구다. 협회가 매년 독일 라이프치히에서 개최하는 포럼은 ‘교통의 다보스 포럼’으로 불린다. 포럼 논의 내용과 일 년 내내 글로벌 교통 이슈에 대해 대응해 내놓는 리포트 등 자료는 각국 정부와 기관, 기업, 학계에서 활용된다.

김 사무총장은 2017년 ‘깜짝’ 당선된 데 이어 2022년에 사실상 만장일치로 재선에 성공했다. 투표에 참여하는 47개국 가운데 44개국이 찬성해 2027년까지 임기를 이어가게 됐다.

그는 높은 지지를 받은 배경으로 ‘K-행정’의 저력을 꼽았다. 김 사무총장은 우리 정부 국토부 등에서 24년 동안 일한 공무원 출신이다. 그는 “‘문제’에 집중하고 네트워킹과 소통을 중시하는 문화가 유럽 국가들에게는 인상적이라는 평가를 받은 모양”이라고 말했다.

김 사무총장은 취임 후 외부 리뷰 시스템을 도입했다. ITF 관점에서 발간하던 포럼 리포트가 있었지만, 2018년부터는 회원국과 협력 기관들에게 포럼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문서 형식으로 받아 보고서를 냈다. 그는 “어떤 점이 정책 설정에 도움이 됐는지 3년 단위로 ‘임팩트 리포트’를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외부의 객관적 평가뿐 아니라 활발한 네트워킹도 ITF의 위상을 높이고 저변을 확대하는 데 도움이 됐다. 김 사무총장은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며 교통과 물류의 중요성이 부각됐다”며 “다양한 기관, 기업들과 업무협약을 체결했고 유엔 등 ‘유명’ 국제기구와 협업도 적극 추진했다”고 말했다. 그는 “그도 그럴 것이 교통은 기후변화, 디지털, AI(인공지능) 등 사실상 모든 부문과 연결된다”고 말했다.

공신력이 높아지면서 여러 국가들은 ITF의 자료를 활용하는 데에서 나아가 ITF에 컨설팅을 요청하고 있다. 기존 정책을 리뷰해달라거나 정책 수립 방향을 제안받는 식이다. 에스토니아는 ITF로부터 2021~2035 국가 중장기 교통·모빌리티 계획을 검토받고, ITF의 제안을 반영했다.

김 사무총장은 “우즈베키스탄에 대한 국가 리뷰도 기억에 남는다”면서 “우즈베키스탄은 교통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가 정부 부처 아래 6개 각기 다른 기관으로 존재했는데, 거버넌스를 강화하기 위해 흩어진 기구들을 하나로 통합해서 효율성 있는 기관을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고, 실제 교통부가 설립됐다”고 말했다.

교통·물류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거나 모빌리티 혁신이 필요한 나라들의 가입 요청도 이어지고 있다. ITF 회원국 수는 2017년 59개국에서 올해 69개국으로 늘었다. 그의 재임 기간 중 사우디아라비아와 브라질 등 주요 국가가 ITF에 합류했다.

김 사무총장은 산업으로서의 교통을 무한한 확장 가능성이 있는 분야라고 봤다. 그는 “전통적으로 교통은 토목, 기계 중심의 하드웨어 산업으로 받아들여졌지만 요즘은 디지털, 애플리케이션 등 소프트웨어 산업의 특성을 갖고 있다”며 “소프트웨어 산업이 된 교통은 다른 산업과 연계돼 발전을 선도할 수도, 발전을 지원할 수도 있다”고 했다.

국내 기업들에게도 교통은 ‘기회의 땅’이다. 김 사무총장은 “수 많은 장관들이 먼저 면담을 요청해 ‘한국과 협업하고 싶다’는 의사를 전할 만큼 한국의 위상은 높다”며 “한국의 교통 인프라, 선진적 디지털 기술, 창의적인 모빌리티 아이디어 등을 믿고, 정부가 ‘코리아 프로모션’에 나서면 실패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인프라를 구축하면 향후 수십 년간 이익이 발생할 수 있다. 김 사무총장은 “저개발국가에 교통 등 하드웨어 인프라를 깔고 디지털이 결합된 모빌리티 생태계를 만들면 의존도가 생긴다”며 “유지·보수와 업데이트 등을 통해 계속해서 이익이 발생하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이 전 세계에 한국 시스템을 깔아야 한다”고 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