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17 (화)

[청계광장]일본 시인 윤동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이병철 시인(문학평론가)




여름에서 가을로 계절이 바뀌고 있다. 이맘때면 '계절이 지나가는 하늘에는 가을로 가득 차 있습니다'라던 윤동주의 시 '별 헤는 밤' 생각이 난다. '잎새에 이는 바람'('서시')에도 괴로워할 줄 알았던 여리고 섬세한 영혼, 그러면서도 '꽃처럼 피어나는 피를/ 어두워가는 하늘 밑에/ 조용히 흘리겠습니다'('십자가')라고 다짐한 것을 끝내 죽음으로 증명해낸 강인한 투사…. 참회와 저항이라는 상반된 두 얼굴로 우리에게 각인된 시인이 바로 윤동주다.

1940년대 식민지 조선에서 당시 넓은 세계를 공부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일본 유학이었다. 일본 대학에 입학하려면 행정절차의 이유로 창씨개명을 해야 했다. 유학을 가기 위해 어쩔 수 없는 일임에도 윤동주는 심한 자괴감에 빠졌다. 그 고뇌가 '참회록'이라는 시에 잘 나타나 있다. '내일이나 모레나 그 어느 즐거운 날에/ 나는 또 한 줄의 참회록을 써야 한다/ 그때 그 젊은 나이에/ 왜 그런 부끄런 고백을 했던가'라는 문장에서 시인은 창씨개명이 평생을 두고 뉘우쳐야 할 과오임을 분명히 말한다. 이 시를 쓰고 닷새 뒤인 1942년 1월29일, 윤동주는 연희전문학교에 창씨개명 신청서를 제출한다.

유학생활 중 쓴 '쉽게 쓰여진 시'에는 조국의 비참한 현실을 뒤로 한 채 침략국에서 공부하며 시를 쓰는 스스로에 대한 환멸이 짙게 배어 있다. '창밖에 밤비가 속살거려/ 육첩방(六疊房)은 남의 나라 … 시가 이렇게 쉽게 쓰여지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라던 윤동주는 부끄러움을 용기 삼아 일본 제국주의에 적극적으로 저항하기 시작한다.

1943년 윤동주는 교토제국대에 다니던 사촌형이자 친구인 송몽규와 가까이 살면서 자주 만나 민족의 장래와 독립에 대해 대화한다. 그런데 과거 중국에서 독립운동을 한 전력으로 요시찰 대상인 송몽규를 감시하던 일본 경찰에 의해 1943년 7월 둘 다 체포된다. 사상범이라는 이유였다. 곧 석방될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징역 2년을 선고받고 구속된다. 그러나 해방을 불과 6개월 남겨둔 1945년 2월16일, 윤동주는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세상을 떠난다. 윤동주가 죽고 19일 뒤인 3월7일 송몽규도 사망한다. 일본 경찰이 발표한 윤동주의 공식 사인은 급성뇌출혈이지만 여러 증언과 객관적 사료들이 말해주는 바 잔혹한 생체실험의 희생양이 됐다는 건 왜곡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일본 재판부는 윤동주에게 징역을 선고하면서 다음과 같이 판결했다. 첫째, 어릴 적부터 민족적 학교 교육을 받아 사상적 문학서를 탐독하며 교우에게 감화 등에 의해 일찍이 치열한 민족의식을 가슴에 품고 있었다. 둘째, 조선 독립을 위해 과거 독립운동의 실패를 반성하고 그 위에 실력을 배양하고 일반 대중의 문화의식 및 민족의식 함양에 힘써야 한다고 결의했다. 셋째, 징병제도를 실시해 새로운 무기와 군사지식을 체득해 장래 대동아전쟁에서 일본이 패배에 봉착할 때 민족적 무력봉기를 결행해 독립을 실현해야 한다고 설파했다. 넷째, 문학은 어디까지나 민족의 행복 추구에 있다는 정신에 입각해 민족적 문학관을 강조하는 등 민족의식을 유발했다. …. 일본에는 불경한 범죄 사실이었겠으나 그들이 작성한 이 판결문은 우리로 하여금 뜨거운 애국심과 민족의식을 고취하게 할 뿐만 아니라 윤동주라는 한 젊은이의 고귀한 생애를 기억하게 한다.

1943년 일본 재판부가 쓴 윤동주 판결문에는 '조선'이라는 국호가 선명하다. 얼마 전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일제강점기 선조들의 국적은 일본"이라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이러한 역사인식에서라면 윤동주는 우리의 자랑스러운 민족시인이 아니라 '히라누마 도쥬'로 이름을 바꾼 일본 시인이 된다. 이는 윤동주가 만주 용정에서 태어났다는 이유로 중국인이라는 중국의 억지 주장과 마찬가지 논리다. 오히려 일본 교토 도지샤대학에는 윤동주 시인의 한글 시비가 세워져 있는데 우리 스스로 우리의 역사와 정체성을 부정하려는 건 대체 어떤 이유일까. (이병철 시인-문학평론가)

이병철 시인(문학평론가)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