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18 (금)

이슈 로봇이 온다

드론‧로봇이 관리하는 건설 안전… 국토부, 기술 상용화 추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부가 국가 연구개발(R&D)한 안전분야 스마트건설 기술을 현장에 실제 적용해 확산할 수 있도록 실증 작업에 나섰다.

조선비즈

지난해 11월 김포파주 1공구 건설 현장에서 관리자가 롤러, 도저, 그레이더 3종으로 토공작업과 자동화 관제시스템을 시연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토교통부(국토부)는 27일 스마트건설 R&D 가운데 안전분야 기술을 중심으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건설현장에서 대규모 실증을 진행했다고 이날 밝혔다.

국토부는 ‘스마트건설 기술육성을 통한 글로벌 건설시장 선도’를 목표로 스마트건설 R&D를 3단계로 추진 중이다.

이날 현장 실증에서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현장 위험 인식 기술, 위험구역을 관리하는 스마트 펜스, 드론과 로봇을 활용한 위험시설 3D 스캐닝 기술, 작업자 안전과 건강상태를 확인하는 스마트 워치 등을 실증했다.

건설현장에 설치한 CCTV의 영상을 인공지능으로 분석해 안전고리 풀림, 안전모 미착용 등 약 20개의 안전 위험 상황을 자동 인식했다.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위험한 상황을 조치하도록 해 추락(떨어짐)이나 협착(끼임) 등의 사고를 미리 예방하는 기술을 실증했다.

장비나 사람들이 접근하거나 통행하지 않도록 하는 스마트 펜스 기술도 실증했다. 중장비 작업구간, 공동구, 유해가스 유출구간 등 수시로 발생하는 위험구역을 대상으로 전자기파를 이용한 가상의 울타리를 설정하는 방식이다.

로봇개와 드론을 이용해 가설발판(비계), 가설지지대(동바리) 등 임시로 사용하는 위험 시설을 3차원 정밀 스캐닝을 통해 구조적 안전성까지 평가하는 기술에 대한 실증도 진행했다.

쉽게 착용할 수 있는 스마트 워치를 통해 작업자의 위치, 생체정보(심박수 등), 동작 상태(쓰러짐, 추락 등)를 실시간으로 확인해 관리자나 관제센터에 이상 징후를 알려주는 기술을 실증했다.

국토부는 안전분야 스마트건설 기술 이외에도 해당 스마트건설 R&D를 통해 건설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토공 자동화, 구조물 시공 자동화 기술개발과 실증에도 힘을 쏟고 있다.

도로 건설 등을 위해 흙을 쌓거나 깎는 토공작업에 사용하는 건설장비를 자율(무인) 또는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비롯해 해당 작업을 관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드론이 현장을 스캔하면 인공지능(AI) 등으로 공사현장에 대한 3차원 디지털 지도를 만들고, 해당 정보를 이동식 관제센터에서 활용하는 방식이다. 자율(무인) 또는 원격으로 시공을 진행할 수 있는 토공 장비를 개발했다.

지난해 수도권 제2순환고속도로 건설현장에서의 기술실증에 이어, 오는 10월 고속도로 하이패스 나들목 신설 공사현장(신탄진휴게소 하이패스 IC공사)에서 본격적으로 적용할 예정이다.

공장에서 사전 제작한 구조물을 활용하여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로봇 등을 이용한 현장 시공으로 건설사고를 줄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3차원 건설정보모델링 기법(BIM)으로 설계한 교량 구조물(바닥판)을 공장에서 자동화 공정으로 생산하고, 교량 구조물(교각, 거더) 현장 시공시 로봇 등을 이용한 원격시공으로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상태다. 이 기술은 오는 11월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건설현장 등에서 활용할 계획이다.

김태병 국토부 기술안전정책관은 “스마트건설기술의 실용화를 통해 건설 현장의 안전 수준이 한층 높아질 것”이라며 “디지털 첨단 기술을 적극 도입해 청년 세대가 건설 분야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참여할 수 있도록 산업 생태계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지윤 기자(jypark@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