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13 (금)

‘국가주의’ 논란 정면 돌파 나선 서울시…광화문광장 운명은 [주말, 특별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시가 ‘국가주의’ 논란에도 광화문광장 국가상징공간 조성 입장을 분명히 했다. 시는 이곳에 전 세계 6·25 참전용사를 기릴 수 있는 공간을 만들겠다고 공언했다. 가장 큰 비판을 받았던 100m 국기게양대 설치 계획은 사실상 철회됐지만, 태극기를 활용한 상징물 조성이 유력해 보인다. 다만 반대 여론도 여전히 만만치 않아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세계일보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20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광화문광장 국가상징공간 조성 관련 기자설명회에서 조성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최상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4일 시에 따르면 시는 광화문광장 국가상징공간의 주제를 ‘자유’와 ‘평화’로 설정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 20일 시청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조선시대 인물인 이순신 장군 동상이나 세종대왕 동상은 대한민국의 국가 정체성을 보여준다고 하기엔 부족함이 있어 광화문광장에 국가상징공간을 만든다는 발상을 하게 된 것”이라며 “자유민주주의를 어떻게 형상화하는가 생각했을 때 가장 쉬운 발상이 태극기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1950년 대한민국으로 자유를 지키기 위해 달려와 준 젊은이들이 없었다면 오늘날 자유민주주의가 가능했겠느냐는 모티브로 상징물을 발상한 것”이라며 “오늘날 공산주의와 대치하고 있는 대한민국이 번영을 꽃피운 바탕에 6·25 전쟁에 참전한 유엔(UN) 22개국 젊은이들의 희생과 헌신이 있었다는 주제로 상징물을 만들겠다는 방향을 설정했다”고 부연했다.

앞서 시는 지난 6월25일 100m 높이의 태극기 게양대와 ‘꺼지지 않는 불꽃’ 상징물 조성을 골자로 한 ‘광화문광장 국가상징공간 조성 계획’을 발표했다. 이후 정치권과 시민들 사이에서 찬반 논란이 확산했다. 광화문광장에 이미 세종대왕 동상과 이순신 장군 동상이 있는데 100m 높이의 태극기 게양대를 설치하는 것은 지나친 국가주의라는 비판이 쏟아졌다. 논란이 커지자 오 시장은 지난달 11일 기자설명회를 열고 “이번에 깜짝 놀랐다. 태극기에 대해 선입견이 형성돼 있다는 사실을 놀랍게 받아들였다”면서 시민 의견을 듣겠다며 한 발짝 물러섰다.

시는 지난달 15일부터 이달 15일까지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 의견 수렴을 진행했다. 총 522건의 의견 중 국가상징공간 조성에 찬성한다는 응답은 59%(308건), 반대 응답은 40%(210건), 기타는 1%(4건)이었다. 국가상징공간에 적합한 상징물로는 태극기라는 답이 215건(41%)으로 가장 많이 나왔고 무궁화 11건, 나라문장 2건, 국새 2건, 애국가 1건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훈민정음과 소나무, 역사정원, 6·25 참전국 국기, 독도 등도 거론됐다.

세계일보

유창수 서울시 행정2부시장이 지난 20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광화문광장 국가상징공간 조성 관련 기자설명회에서 조성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최상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여론 수렴 결과에 따라 국가상징공간을 조성하고, 그 상징물로는 태극기가 활용될 가능성이 커졌다. 당초 계획인 100m 게양대가 아니더라도,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형 게양대와 미디어폴 등이 대안으로 제시됐다. 오 시장은 “상징물 중엔 태극기가 들어갈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면서도 “태극기를 상징물로 활용하는 게 제일 설득력 있고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시는 이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전문가 자문과 열린광장운영시민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침을 마련해 내달 설계 공모를 추진할 예정이다. 12월 기본 및 실시설계에 착수한 뒤 내년 5월 착공하면 그해 9월엔 광화문광장 국가상징공간이 완성된다.

시가 시민 의견 수렴 절차를 거쳤음에도, 논란은 쉽게 사그라지지 않는 모양새다. 국가상징공간 조성에 반대 목소리를 낸 시민들은 ‘현재 광화문광장 인근에 국기게양대가 있어 추가 상징물은 불필요하다’, ‘세종대왕상 등 기존에 광화문광장에 있는 국가상징물로 광장의 역사성은 충분하므로 광화문광장 현 상태 유지를 희망한다’, ‘정책 및 예산의 우선순위를 고려한 사업 추진이 필요하다’ 등 의견을 냈다.

오 시장은 이와 관련해 “요즘같이 정치적인 견해가 양극화된 시대에 (반대가) 40%라면 그렇게 높은 비율인지 의문”이라며 “당초 높은 태극기 게양대로 설명이 됐기 때문에 생겼던 의견의 흐름도 있었던 것 같다. 충분히 설명해 드린다면 오해는 상당히 풀릴 것”이라고 자신했다.

일각에선 시민 의견 수렴 건수가 522건에 불과해 서울시민의 뜻을 대표하기엔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설문조사가 아닌 의견 수렴 형태로 진행된 점을 두고도 공정성 문제가 제기됐다. 시가 보여주기식 의견 수렴을 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뒤따른다. 시는 시민들과 지속해서 소통하며 국가상징공간 조성 필요성에 대한 공감을 끌어내고, 반대 의견을 줄여나가겠다는 입장이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창의융합학부)는 “광화문광장은 서울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의 최중심지”라며 “그런 곳에 국가상징물을 만든다면, 지자체와 시민이 함께하는 모습이 돼야 세계인들에게도 더 자랑스러운 상징물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구윤모 기자 iamkym@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