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12 (목)

“시청률 0%, 터질게 터졌다” 100억 충격의 적자 사태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캐나다 가수 셀린 디온이 프랑스 파리 올림픽 개막식 축하 공연에서 프랑스 샹송 ‘사랑의 찬가’를 열창하고 있다. [사진, A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 박영훈 기자] “최소 100억원 적자”

2024 파리올림픽이 끝나자마자 방송사들이 발칵 뒤집혔다. 처참한 시청률로 적자 사태가 예고됐다.

이기훈 하나증권 연구원은 SBS에 대해 “올림픽 영향으로 최소 100억원 이상의 손실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이를 감안한 SBS의 올 3분기 영업손실을 43억원으로 예상했다.

SBS의 목표주가도 기존 2만6000원에서 2만4000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저조한 시청률로 거액을 들여 중계권을 확보한 방송사들이 역풍을 맞고 있다. 방송 3사의 공동 생중계는 이번이 마지막이 될 것이라는 말까지 나온다.

올림픽 중계권료는 대외비로 알려졌지만 한화로는 1조원이 훨씬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방송사들은 올림픽 중계료를 비싼 돈을 주고 사서, 광고 판매로 이를 상쇄하는 구조다. 하지만 올림픽 시청률이 크게 부진하면서 광고 매출로 수익을 내기 어려운 상황이다.

헤럴드경제

대한민국 선수단이 2024 파리 올림픽 개막식 퍼레이드에 등장한 모습. [사진, 삼성전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특히 개막식의 경우 지상파 3사가 0~1%대의 저조한 시청률을 기록했다. 직전 행사였던 2020년 도쿄올림픽 개막식 합계 시청률(17.2%)의 약 6분의 1 수준이다.

프랑스와 시차가 1시간밖에 나지 않는 2012년 런던 올림픽 개막식 합계 시청률은 14%, 2016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은 20%였던 것과 비교하면 시차만으로 시청률 부진을 설명할 수 없다.

대표팀 선수들이 깜짝 활약에 시청률이 반등하기도 했지만, 올림픽 ‘특수’라는 말은 아예 사라졌다. 대부분 경기 시청률이 한 자릿수에 머물렀다.

국내 뿐아니라 해외에서도 올림픽에 대한 관심도가 크게 추락했다. 구글 트렌드에 따르면 7월 올림픽에 대한 전세계 검색량은 24로, 하계 올림픽 기준 역대 최저치로 집계됐다. 해당 지표는 가장 검색량이 많을 때를 100으로 두고 상대적인 추이를 나타낸다.

2008년 올림픽 100, 2012년 62, 2016년 73, 2021년 39 등으로 하락하다, 이번 파리올림픽은 24로 처참한 수준까지 추락했다.

park@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