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0 (금)

대법원 "제약사가 환급해 준 희귀약 값은 실손보험으로 또 보상 안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항암치료를 위해 고가의 약제를 사용할 때 제약회사가 환자에게 돌려주는 위험분담 환급금은 실손보험의 보상 대상이 아니라는 대법원판결이 나왔습니다.

대법원 1부(주심 노태악 대법관)는 지난달 11일 이 모 씨가 메리츠화재해상보험을 상대로 낸 보험금 청구 소송에서 원심의 원고일부승소 판결을 확정하면서 이같이 설시했습니다.

위험분담제는 효과가 불확실한 항암신약, 희귀의약품 등 고가 약에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보험급여를 해주되 제약사도 일부 약값을 부담하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난치병을 앓는 환자의 치료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해 마련됐습니다.

이 씨의 배우자는 암이 발병해 2022년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주를 전액 본인 부담으로 처방받았습니다.

그는 병원에 약값을 지급한 뒤 제약회사로부터 약값의 일부인 약 1천500만 원을 환급받았습니다.

실손보험은 국민건강보험에서 보상받을 수 없는 '본인부담금' 중 일부를 보상하는 상품입니다.

보험사는 이 씨의 보험 약관에 '의료급여 중 본인부담금의 90%와 비급여의 80%에 해당하는 금액'을 보상한다고 명시하면서, 본인부담금을 '본인이 실제로 부담한 금액'을 의미한다고 정의했습니다.

재판의 쟁점은 이 씨의 배우자가 제약회사로부터 받은 환급금을 '본인부담금'에 포함할지였습니다.

환급금이 포함되면 본인부담금의 규모가 커지므로 이 씨가 받을 수 있는 보험금도 늘어납니다.

1심은 환급금이 본인부담금에 포함된다고 본 반면 2심은 포함되지 않는다고 판결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대법원은 "손해보험은 보험사고로 인해 생길 피보험자의 재산상 손해를 보상하기 위한 것"이라며 "손해의 전보를 넘어서 오히려 이득을 주게 되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은 손해보험제도의 원칙에 반할 여지가 있다"고 했습니다.

고가항암제의 약값을 환자가 제약회사와 보험회사로부터 중복으로 지급받으면 실제 발생한 손해보다 더 큰 이익을 얻게 되므로 손해배상제도의 '이득 금지 원칙'에 맞지 않는다는 판단입니다.

이에 "결국 약제비용 중의 일부를 제약회사가 부담한 것"이라며 "위험분담제에 따라 제약회사로부터 환급받는 금액은 피보험자가 실제로 부담한 요양 급여비용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고 판결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원종진 기자 bell@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