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5~26일 독일 잉골슈타트 현지 시승
빠른 속도에도 안정감 인상적…주행성능 우수
'기술을 통한 진보' 실현…수려한 디자인은 덤
지난달 25일(현지시간) 독일 바이에른주 잉골슈타트 일대 아우토반에서 SQ8 e-트론이 주행하는 모습./김정규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잉골슈타트/아시아투데이 김정규 기자 = "시속 180㎞? 이 정도로 안정감 넘치는 전기차가 있었나"
검은색 사선 다섯 줄이 그어진 하얀색 표지판이 등장했다. 제한속도·추월금지·경적사용금지 등 모든 제한이 풀린다는 의미의 독일 아우토반 상징 아닌가.
있는 힘껏 가속 페달을 내질렀다. 가슴이 저릿하는 느낌과 함께 앞으로 튀어나가는 듯한 느낌도 잠시. 이내 평화(?)가 찾아왔다.
세계 유일의 속도 무제한 고속도로에서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숫자는 쭉쭉 올라가 이내 180을 넘겼지만 차량은 거의 미동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계기판을 보지 않았다면 속도를 체감하기 힘들 정도였다.
SQ8 e-트론의 운전석 모습./김정규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달 25~26일 폭스바겐그룹이 독일 현지에서 마련한 전기차 시승행사에 참가해 바이에른주 잉골슈타트 일대에서 약 180㎞를 아우디의 Q8 e-트론과 SQ8 e-트론을 번갈아 가며 시승했다.
특히 국내에 SQ8 e-트론 시승 차량이 없는 만큼 이날 시승은 국내 취재진에 최초로 제공된 기회였다.
SQ8 e-트론의 2열 모습./김정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틀간 두 차를 번갈아 타며 가장 인상적이었던 점은 극강의 안정감이었다. 어댑티브 에어 서스펜션이 기본으로 장착돼 차체 높이가 주행 상황에 따라 총 76㎜ 범위 안에서 조절 가능했고, 차량의 횡방향 움직임을 최적화하기 위해 에어스프링도 조정됐다. 높은 속도에도 풍절음은 거의 들리지 않는 등 정숙성이 매우 높았다.
Q8 55 e-트론의 외관 모습. 강렬한 검은색의 외관 때문에 한층 더 세련된 느낌이 난다. 미래지향적인 2차원의 아우디 로고가 인상적이다. /김정규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더욱이 양산 최초로 3개의 모터로 구성된 SQ8 e-트론의 경우 한층 더 업그레이드된 민첩함이 인상적이었다. 7가지의 드라이빙 모드 중 다이내믹 모드를 선택한 뒤 엑셀을 살짝 밟자 머리가 뒤로 젖혀지는 느낌과 함께 차량은 앞으로 튀어나갔다. SQ8 e-트론의 제로백(정지상태에서 100㎞/h까지 가속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4.5초에 불과하다.
지난달 25일(현지시간) 독일 바이에른주 잉골슈타트 일대에서 Q8 e-트론이 주행하는 모습./김정규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또 114kWh 용량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 용량은 기존보다 더 늘었다. 완속(AC) 및 급속(DC) 충전이 가능하며, 급속충전 시 최대 170kW의 출력으로 충전할 수 있다. 1회 충전 시 주행거리의 경우 Q8 55 e-트론은 복합 기준 368㎞를 달성했고, SQ8 e-트론은 303㎞가 가능하다.
디자인 역시 우수했다. 차량 전면부에는 특유의 싱글프레임 마스크에 기존과는 다른 그릴이 적용됐다. 특히 2차원적으로 적용된 아우디의 네 개의 링은 미래지향적인 분위기를 한껏 강조했다. 세련된 디자인 탓일까. 아우디 차량이 무수히 많은 이곳 잉골슈타트에서도 SQ8 e-트론과 Q8 e-트론이 이동할 때 보행자들의 시선과 고개는 함께 돌아갔다.
Q8 e-트론의 내부 1열 모습. 운전석과 조수석 모두 레그룸이 널찍하다. 메인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꺾인 유려한 곡선라인이 인상적이다./김정규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실내 공간도 널찍했다. 4915㎜에 달하는 전장에 2928㎜의 긴 휠베이스 덕분에 레그룸을 포함한 실내 공간은 여유가 있었다. 또 소프트 도어 클로징, 블랙 헤드라이닝, 나파가죽 패키지 등은 실내의 고급스러움을 더 살렸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