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17 (화)

이슈 정치권 사퇴와 제명

친윤 정점식 정책위의장 사퇴… 한동훈 체제 힘실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임 지도부 당직자 대부분 사의

국민의힘 정점식 정책위의장이 1일 사임했다. 한동훈 대표가 ‘임명직 당직자 일괄 사퇴’를 요구한 지 하루 만이다. 친윤계인 정 의장을 비롯해 전임 지도부가 임명한 당직자 대다수가 사의를 표하면서 한 대표는 완전한 친정 체제를 구축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한 여권 관계자는 “한 대표가 인사권을 오롯이 다 행사할 수 있게 되면서 리더십에 더 큰 힘이 실렸지만, 그 결과에 대한 책임도 전적으로 한 대표가 지게 됐다”고 했다.

정점식 정책위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결국 우리 당 분열을 막기 위해서는 제가 사퇴하는 게 맞겠다는 생각을 갖게 됐다”고 밝혔다. 한 대표가 취임한 지 9일 뒤인 이날 사의를 밝힌 데 대해서는 “그 당시(당대표 선거 직후)에는 누구도 사임하라는 요청이 없었다”며 “어제(31일) 오후 2시 한 대표가 ‘새 정책위의장과 함께 일하고 싶다’는 완곡한 말을 했다. 그때부터 고민을 시작한 것”이라고 했다.

정 의장은 이날 사의를 표하기 전까지 거취와 관련한 질문에 침묵했다. 전날 나온 ‘일괄 사퇴’ 요구에 따라 홍영림 여의도연구원장, 서지영 전략기획부총장, 김종혁 조직부총장, 김수민 홍보본부장 등은 즉각 사의를 밝혔는데, 정 의장은 이날 오전 열린 최고위원 회의에 전임 지도부에서 임명된 당직자들 가운데 유일하게 참석했다. 이 때문에 친한계를 중심으로 “정 의장이 유임을 위해 버티기에 들어간 것 아니냐”는 추측이 나왔는데, 이날 오후 늦게 사임을 발표한 것이다.

정 의장은 ‘거취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대통령실과 논의했느냐’는 질문에 “전혀 그런 것 없다”며 “사무총장은 ‘당대표가 임면권을 가진 당직자는 모두 일괄 사퇴하라고 얘기했는데, 당헌상으로 당대표는 정책위의장에 대한 면직권을 갖고 있지 않다. 정책위는 당 기구가 아니라 원내 기구”라고 했다. 이에 대해 한 친한계 의원은 “당헌에 따르면 정책위의장에 대한 인사권은 당대표가 갖고 있다”고 반박했다.

국민의힘 당헌은 ‘정책위의장은 당대표가 원내대표와의 협의를 거쳐 의원총회의 추인을 받아 임명한다’ ‘정책위의장 임기는 1년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21년 6·11 전당대회, 2023년 3·8 전당대회에서 각각 선출된 이준석·김기현 당대표는 정책위의장을 새로 임명했다. 당시에는 기존 정책위의장이 임기 1년을 넘겼거나 거의 다 채운 상태여서 별다른 이슈가 되지 않았다. 하지만 지난 5월 ‘황우여 비대위’에서 임명된 정점식 의장은 임기를 2개월여밖에 채우지 못했다. 이 때문에 친윤계는 “임기 1년을 보장해줘야 한다”며 유임을, 친한계는 “임면권이 임기보다 우위에 있다”며 교체를 주장해 양측 간 갈등이 커진 측면이 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이번과 유사한 갈등이 재발하지 않도록 당헌을 개정해야 한다”고 했다.

한 대표는 이르면 2일 정책위의장과 지명직 최고위원 등의 인선을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책위의장에는 대구 4선의 김상훈 의원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명직 최고위원은 김종혁 전 조직부총장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정책위의장은 당헌에 따라 ‘정책위원회의 주재’ ‘당 정책에 관한 협의·조정’ ‘당정 협의 업무 총괄·조정’ 등의 권한을 갖는다.

한편, 한 대표는 2일 전임 지도부인 ‘황우여 비대위’와 점심을 함께하기로 했다. 이 자리에는 황우여 전 비대위원장을 비롯한 비대위원들이 자리할 예정인데, 당시 당연직 비대위원이었던 정점식 정책위의장의 참석 여부가 주목받고 있다.

친한계가 사퇴 대상으로 지목한 이용구 윤리위원장도 거취를 당 지도부에 일임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 위원장은 황우여 전 비대위원장이 지난 6월 임명한 인사다. 한 친한계 의원은 “윤리위를 동원해 이준석 전 대표를 축출한 전례를 반복하지 않으려면 윤리위원장 인사도 신중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김승재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