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2 (금)

이슈 고령사회로 접어든 대한민국

韓, G7 진입 막는 이유는? “AI 사회 대비 부족·저출생고령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현대경제연구원 ‘G7 강국 도약 위한 조건' 보고서



헤럴드경제

[게티이미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유동현 기자] 한국이 주요 7개국(G7)으로 진입하지 못하는 이유로 세계 경제 저성장 국면과 인공지능(AI) 사회에 대한 불충분한 대비, 저출생·고령화 환경 등이 지적됐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이런 내용을 담은 'G7 강국으로의 도약을 위한 조건' 보고서를 28일 발표했다.

연구원은 한국이 G7에 진입하는 데 걸림돌이 될 수 있는 부정적인 요인으로 ▷세계 경제의 중·장기 저성장 ▷서비스업의 취약한 생산성 ▷AI 사회에 대한 대비 부족 ▷저출생·고령화 등을 꼽았다.

연구원은 코로나19 사태 이후(2023∼2029년) 글로벌 경제는 연평균 3.2%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코로나19 사태 이전(2011∼2019년)의 연평균 성장률(3.5%)보다 낮은 것이다.

또 보호무역주의 확산과 경제 블록화, 중국의 중진국 함정 등 불안 요인이 현실화할 수 있어 한국 경제의 수출 부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게 연구원 설명이다.

서비스산업의 노동생산성이 과도하게 낮은 점도 우리 경제의 성장 속도 저하의 원인으로 지목됐다.

한국의 전체 1인당 노동생산성은 2021년 기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의 92% 수준, G7 평균의 86% 수준, 미국의 62% 수준이다.

하지만 서비스업 부문의 1인당 노동생산성은 OECD 평균의 85%, G7 평균의 77%, 미국의 51% 수준에 그친다.

아울러 한국의 AI 민간투자 규모는 한국이 약 13억9000만 달러로 낮은 수준은 아니지만, 미국(672억 달러)과 중국(77억6000만달러)보다는 뒤처진다.

이밖에 2022년 한국의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 수)은 0.78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가장 낮아 성장잠재력 하락(물적 생산요소 감소)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연구원은 전했다.

연구원은 "한국 경제의 안전판 역할을 하는 내수 부문의 체질 개선을 지속해야 한다"며 "제조업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산업계 혁신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dingdong@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